반응형
1. 산림생태계 복원
(1) 산림의 공익기능과 환경보전기능
- 산림 기능 직접효용: 목재 생산 및 산림 부산물 생산 기능
- 산림 기능 간접효용(공익기능):
- 수자원 함양
- 대기정화
- 산림휴양
- 토사유출 방지 및 토사붕괴 방지
- 야생동물 보호
- 산림정수 기능
- 소음 방지, 방풍 기능
- 기후 완화
- 어족자원 보호
(2) 산비탈 침식방지 및 붕괴 확대 방지
- 침식 방지
- 우수(빗물)의 침식성 및 토양의 수직성 결정 (유량과 비탈면 경사로 영향)
- 비탈면 경사 완화
- 우수의 분산 및 유하 조절
- 지표면 피복 (가장 효과적인 방법)
- 우수 유로 집수 및 나출지면의 유량 감소
- 붕괴 확대 방지
- 과도한 호우로 인한 붕괴 예방
- 위험 구간의 경사 완화
- 흙막이벽 설치 또는 배수시설 구축
(3) 산림생태 복원의 기본사항
- 적용 가능 경사도
- 낙엽활엽수림이 발달한 15~35% 경사의 사면이 적합
- 통기성과 배수성이 좋아 뿌리 호흡 용이
- 균등한 수분 공급 가능
- 자연스럽게 주변 환경과 조화됨
- 대상지 토양조건
- 표토층 30cm 이상, 유효토층 깊이 50cm 이상 확보 필요
- 사면 보호 재료 사용 효과
- 토양침식 방지 및 반입 토양 안정화
- 토양의 보습·보온 효과
- 외부 잡초 발아 억제 효과
- 지속적인 영양분 공급 효과
- 토양 미생물 발달 촉진
- 강우에 의한 토양 침식 방지
(4)산림의 환경보전 기능
구분 | 기능 | 내용 |
이화학적 환경 보전 | 수자원 환경 | 유효수량과 수질 확보 |
재해 방지 | 수해, 비탈붕괴, 토사 유출, 눈사태, 바람 침식 방지 | |
쾌적성 유지 | 기후 완화, 공기 정화, 소음 경감 | |
비이화학적 환경 보전 | 어메니티 | 경관 형성, 생물상의 다양성 확보 |
레크리에이션 | 휴양, 행락, 삼림욕 | |
문화 기반 | 역사, 예술 전승과 창출, 교육 효과 |
2. 생태계(식생)이전 계획
(1) 생태계(식생)이전 계획의 순서
- 이식대상 선정
- 생태적으로 양호한 식생 선정
- 생존 가능성과 보존 가치가 있는 식생 선정
- 이식시기 선정
- 수목의 휴면기에 식생이전 계획 수립
- 생육환경 조성계획 수립
- 이식 대상 지역과 복원 지역의 생육환경을 동일하게 설계
(2) 생태계(식생)이전 설계과정
- 현존식생량 파악 및 예비조사 (대상지 선정)
- 기초조사
- 대상지 내 분포하는 식물상 및 식물군집 구조 조사
- 지역별 식생별 이식량 산정
- 이전계획 수립
- 식생복원(모델) 설계
(3) 이전 대상 수목 기준
구분 | 이전 기준 |
교목류 | 흉고직경 2~5cm 또는 수고 2~5m |
아교목류 | 흉고직경 2cm 미만 또는 수고 2m 이하 |
관목류 | 흉고직경 2cm 미만 또는 수고 2m 이하 |
경관용 식재 | 흉고직경 5~15cm 또는 수고 2~5m |
반응형
함께보면 좋은 글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호안의 식생복원, 추이대의 식생복원
1. 호안의 식생복원(1) 호안의 유형과 적용 호안 유형 특징 및 적용 계단호안- 사람이 쉽게 접근 가능- 수위 변동이 있어도 계단 형상을 유지하도록 설계 필요완경사호안- 저수호안의 친수성을
now-joo.tistory.com
반응형
'자격증 > 자연생태복원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인공훼손지 생태계 복원, 광산 복원 (0) | 2025.03.05 |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호안의 식생복원, 추이대의 식생복원 (0) | 2025.03.05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빗물을 이용한 생물서식공간 조성 (0) | 2025.03.04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곤충류, 양서류, 어류, 조류의 서식처 조성 (0) | 2025.03.01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도시생태계 복원, 육상동물 서식처 복원 (0) | 202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