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산림생태계
(1) 산림생태계의 수순환 과정에서 역할
- 증산작용을 통해 지표면의 열환경 완화
- 산림의 대규모 손실은 지표의 열환경과 증산량 감소로 인해 광역의 물순환 변화 초래
- 물은 광합성에 의한 물질생산에 기여하며, 생산된 물질순환 과정에서 산림토양 형성
- 산림토양의 유무는 우수유출 경로를 결정하며, 홍수와 갈수에 영향 미침
- 산림 및 산림토양의 유무는 하천의 토사량과 수질 형성에 중요한 역할
(2) 식물구계 (Phytogeographic Realm)
식물구계 | 특징 | 대표 식물 |
북대식물구계 | 열대를 제외한 북반구 대부분 포함 | 소나무, 버드나무, 밤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
구열대식물구계 |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열대지역 및 하와이 부근 남태평양 지역 포함 | 바나나, 야자나무, 쌍잎감 |
신열대식물구계 | 멕시코 이남의 아메리카 대륙(파타고니아 제외) 포함 | 선인장, 용설란, 파인애플, 칸나, 큰가시연 |
오스트레일리아식물구계 | 오스트레일리아와 태즈매니아섬 포함 지역 | 아까시나무, 유칼립투스, 뱅크시아 |
케이프식물구계 | 아프리카 남단의 좁은 범위로 특징적 플로라 보유 | 에리카, 알로에, 사철채송화 |
남극식물구계 | 남아메리카 대륙 남단, 남온대 태평양·남인도양 섬, 뉴질랜드, 남극대륙 포함 | 남극너도밤나무 |
2. 천이 유형별 비교
구분 | 천이 유형 |
유발지역 | 1차천이: 고등생물상이 존재하지 않던 지역 2차천이: 식물군집이 존재하던 곳 |
유발주체 | 자발적: 기존 식물상의 환경형성 자체가 다른 식물종을 불러들이는 원인으로 천이 진행 타발적: 외부로부터 힘에 의한 환경변화로 인해 천이가 주도적으로 진행 |
진행방향 | 진행: 군집의 속성이 점차 복잡해지면서 안정된 성숙한 군집으로 진행되는 현상 퇴행: 군집의 속성이 보다 단순하고 회입되는 방향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현상 |
진행방향 형태 | 방향성: 자발적 천이와 진행천이를 바탕으로 생태계의 발달과 변화가 일어나는 천이 순환천이: 숲림천이와 같이 국부적으로 반복되는 천이 |
군상천이 원인 | 시차적: 교란의 시점이나 정도가 달라 천이의 단계가 다양해지는 현상 지형적: 특정한 입지조건에서 이주·정착하는 수목의 종류나 천이 진행속도가 서로 다른 현상 |
3. 천이(생태천이, Succession)
(1) 생태천이의 개념
- 생물공동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종의 조성이나 구조를 변화시키면서 다른 생물공동체로 변화하는 과정
- 이러한 시간적 변화의 과정을 생태천이(Succession) 또는 천이라고 하며,
- 식생의 천이(Vegetation Succession)는 식생천이라고 함
반응형
(2) 식생천이(Primary & Secondary Succession)
- 천이의 일반적인 단계
- 나지 (Bare Land)
- 1년생 초본기 (Annual Herb Stage)
- 다년생 초본기 (Perennial Herb Stage)
- 관목림기 (Shrub Stage)
- 호양성 교목림기 (Heliophilous Tree Stage, 양수림)
- 내음성 교목림기 (Sciophilous Tree Stage, 음수림)
- 즉, 군락의 종 조성 및 생활형의 변화 과정을 의미
(3) 천이 단계와 목본식물종의 생활사 및 생리적 특성
특성 | 천이 초기종 | 천이 후기종 |
성장속도 | 빠름 | 늦음 |
초산령(첫 개화 연령) | 낮음 | 높음 |
종자 크기 | 작음 | 큼 |
종자 산포양식 | 풍산포(바람), 동물산포 | 동물산포, 중력산포 |
종자의 휴면성 | 있음 | 없음 |
잎의 수명 | 짧음 | 김 |
내음성 | 없음 | 있음 |
- 초기 천이종(Pioneer Species): 빠른 성장과 낮은 내음성, 작은 종자, 풍산포 및 동물산포를 통한 확산
- 후기 천이종(Late-Successional Species): 느린 성장, 높은 내음성, 큰 종자, 중력산포 및 동물산포
4. 산림토양의 물리적 성질과 산성화 영향
(1) 산림토양의 물리적 성질
- 토성: 입경에 따라 토성을 구분하며, 토성은 토양 내 모래, 미사, 점토의 함량 비율에 따라 결정됨
- 견지성: 토양수분의 변화에 따라 토양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의미
- 온도: 식물의 뿌리와 토양생물의 활동 및 분해율, 양분 흡수속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2) 토양 산성화가 식생에 미치는 영향(pH 4~5 이하일 경우)
- H⁺ 증가로 인한 영향
- 뿌리의 양분 흡수력 저하
- 뿌리 내 효소작용 방해
- 세포막 약화로 인해 식물의 생활력 장애 초래
- 양분 결핍 초래
- 토양 내 Al³⁺ 용출로 인해 인산이온 결핍
- 식물 이용 염기의 유실 및 용탈로 인한 양분 부족
- 토양 생물 활성 저하
- 토양 내 세균 및 소동물의 활성 감퇴
- 중금속 농도 증가
- 알루미늄, 망간, 구리, 아연, 납 등 유해 이온과 중금속 증가로 인한 유해 작용 증대
함께 참고할 포스팅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해안 및 도서 생태계, 습지 및 자연보전지역 정리
1. 해안 및 도서 생태계 정리(1) 간석지(갯벌) 해안특징파랑의 영향이 작아 저질의 안정성이 높음세립질이 수평으로 넓게 퇴적되어 보습력이 매우 높음해양생물의 안정된 서식환경 제공해수의
now-joo.tistory.com
반응형
'자격증 > 자연생태복원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자연의 핵을 보전하는 방법, 환경영향평가와 경관생태 (0) | 2025.03.28 |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해안 및 도서 생태계, 습지 및 자연보전지역 정리 (0) | 2025.03.28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경관조각과 특성, 비오톱(Biotop)의 개념 및 분류 (0) | 2025.03.20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개념, 원격탐사(RS)의 개념 (0) | 2025.03.19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경관생태학의 개념, 경관구조와 요소, 기능과 변화 (0)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