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자연생태복원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해안 및 도서 생태계, 습지 및 자연보전지역 정리

by by nowjoo 2025. 3. 28.
반응형

1. 해안 및 도서 생태계 정리

(1) 간석지(갯벌) 해안

  • 특징
    • 파랑의 영향이 작아 저질의 안정성이 높음
    • 세립질이 수평으로 넓게 퇴적되어 보습력이 매우 높음
    • 해양생물의 안정된 서식환경 제공
    • 해수의 영양염류가 풍부하고 종 다양성이 높아 1차 생산성이 높음
    • 염생습지가 형성되는 지역
    • 생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석에 따른 대기 노출 시간, 침수 시간, 퇴적물 입도 조성
  • 염생식물
    • 토양 염분 농도가 높아 일반 육상식물이 생육할 수 없는 지역의 식물
    • 예시: 갈대, 해홍나물, 퉁퉁마디, 칠면초
  • 염생식물의 염분 대응 기작
    • 염분 흡수 억제 및 액포 내 염분 저장
    • 표피의 염선에 여분 염분 축적 후 세포파괴를 통해 배출
    • 증산작용으로 염분을 표피로 이동 후 수공을 통해 배출
    • 각 기관에 염분 축적 후 과다시 조직/기관 고사로 염 제거
    • 뿌리를 통해 흡수된 염분이 잎까지 이동 후 다시 토양으로 배출
    • 표피 모용(털)을 통해 염분 제거
반응형

(2) 하구역

  • 하천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수역
  • 생산성이 높은 환경으로 자연 정화 기능 수행
  • 육상 기원의 퇴적물 및 오염물질을 처리
  • 홍수 피해 저감 및 자연재해로부터 보호 기능
  • 염분 구배 뚜렷 (염분 0.1~32‰ 범위)

 

(3) 해안사구

  • 정의: 해류와 연안류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이동하여 쌓인 모래언덕
  • 형성 과정에 따른 분류
    • 전사구: 해안선을 따라 1차적으로 형성
    • 이차사구: 퇴적된 모래가 침식·운반·퇴적되면서 형성
  • 형성 단계별 식생
    • 형성기: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갯그렁
    • 성장기: 해당화, 순비기, 갯메꽃, 갯방풍, 사철쑥
    • 안정기: 해송, 아까시나무
  • 형성 요인
    • 영향 요소: 모래 공급량, 입도 분포, 풍속 및 풍향, 식물 특성, 주위 지형, 기후
    • 형성 조건:
      • 강풍이 탁월할 것
      • 모래가 건조한 상태일 것
      • 식물 피복이 적을 것
      • 모래 입자가 균일할 것
      • 모래 퇴적을 촉진할 장애물이 존재할 것
  • 해안사구의 기능
    • 내륙 및 해안 생태계의 연결 및 완충 역할
    • 후면 습지를 형성하여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 제공
    • 폭풍이나 해일로부터 해안선 보호
    • 해안 주변의 식수원 저장탱크 역할
    • 다양한 조류의 산란장 역할
    • 육지와 바다 사이 퇴적물 양 조절
  • 해안사구의 가치
    • 해안 모래의 저장고
    • 지하수 저장고
    •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

 

(4) 도서(섬)의 구분

  • 양도: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
  • 육도: 과거 대륙으로부터 분리된 섬

2. 습지 및 자연보전지역 정리

(1) 습지의 기능

1-1 홍수 조절기능
 
습지의 기능 일반적 성격 기능의 중요도 결정요인 위협적 요소
홍수 유도 물의 배수로 구성 습지의 지형, 규모, 식생, 하천과의 관련성, 홍수 흐름 억제 지형지물 제방 등으로 홍수흐름 저해 시 인근 지역 피해
홍수 저장 홍수 시 물을 저장 유역과 상대적 위치, 관련성, 지형, 토양 흡수능, 습지규모 및 깊이 습지 매립으로 홍수저장능력 감소
1-2 토양 안정기능
 
습지의 기능 일반적 성격 기능의 중요도 결정요인 위협적 요소
침식방지 조절
표면유수 감소
습지식생의 뿌리권이 유사하여 토양 결속력과 유실 방지 습지식생, 토양형과 구조, 흐름, 식생 완충대와 관련 습지 위치 식생 제거 시 기능 상실
제방 및 호안 보호 유속과 파도의 침식력에 토양 보호 해안이나 호수, 하천 관련 위치, 파도 강도, 식생 유형, 토양 유형 식생 제거 시 기능 상실
퇴적 조절 습지식생이 토양 입자를 뿌리로 결속, 침전속도 늦춤 습지 깊이, 범위, 습지식생, 토양형과 구조, 흐름 식생 파괴 시 기능 상실
1-3 오염 조절기능
 
습지의 기능 일반적 성격 기능의 중요도 결정요인 위협적 요소
오염 조절 및
수질 개선
침전물 여과하고 오염물질 제거, 미생물과 분해과정으로 수질개선 습지 유형과 규모, 습지 식생, 오염원 및 유형 식생 파괴 시 기능 저하
1-4 수문 안정기능
 
습지의 기능 일반적 성격 기능의 중요도 결정요인 위협적 요소
표면수 공급 홍수 시 물을 저장하여 첨두 홍수량과 시간을 조절, 오염원 필터 습지의 크기, 위치, 유역과의 관계 식생 제거 시 기능 저하

 

(2)  습지 및 자연보전지역의 평가 방식 및 평가 모델

  • WET: 개별 습지의 기능과 가치 평가
  • HEP: 어류 및 야생동물의 서식처 평가
  • HGM: 습지 생태계의 종합 평가 방식
  • RAM: 간이 평가
  • IBI: 생물학적 평가 모델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도시경관생태의 특성, 댐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1. 인공경관생태(1) 농촌·산촌농촌경관의 특성자연생태계와는 시공간적으로 다른 물질순환의 생태기능을 가짐.경작지나 매립 등의 토양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식이 도시하천 및 연안 간석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