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자연생태복원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육수생태계, 유수생태계, 정수생태계

by by nowjoo 2025. 2. 24.
반응형

1. 육수생태계의 구조와 특성

(1) 구분

반응형
  • 유수생태계: 하천생태계로, 물의 유입과 유출이 있음.
  • 정수생태계: 호수, 연못, 저수지처럼 물이 정체된 상태.
    • 흐름이 없어 자정 능력과 회복 능력이 낮음.
  • 습지생태계: 수문, 토양, 식생을 기준으로 습지를 판별.
    • 육상과 수생의 전이지대로 생물 다양성과 생산성이 높음.

(2) 육수생태계의 특징과 생물 분류

  • 특징
    • 육상생태계에서는 물과 기온이 제한 요소,
    • 수생 생물(동·식물)에게는 용존산소(DO)와 광선 투과량이 제한 요소.
  • 생물 분류
    • 저서생물, 부착생물, 부유생물, 유영생물, 수표면생물

(3) 육수 오염

  • 수질오염지표
    • pH, DO, BOD, COD, TOC, 고형물, 대장균군

2. 유수생태계

(1) 하천식생의 생태적 특성

  • 영양물질 제한 인자: 유수 지배적, 기층 토양, 광선 등.
  • 수생식물 구분
    • 수생식물역: 침수·부유·부엽식물 포함(물속 또는 물 위에서 생장).
    • 정수식물역: 갈대, 부들, 줄 등(하안선 중심, 뿌리와 줄기 일부는 토양에 존재).
    • 하원식물역: 계절적 홍수로 인해 형성된 지반면에서 생장(내성 강한 종).
    • 하변림: 버드나무, 사시나무 등(성장 빠르고 수명 짧음).
식물 유형 특징 예시
침수식물 전체가 물속에 잠김 물수세미, 검정말, 붕어마름, 말즘
부유식물 물 위에 자유롭게 떠 있음 생이가래, 부레옥잠, 개구리밥
부엽식물 뿌리는 물 밑바닥, 잎은 물 위에 떠 있음 수련, 물옥잠, 마름, 가래, 자라풀
정수식물 뿌리는 토양, 줄기·잎 일부 또는 전부가 물 위 연꽃, 갈대, 부들, 줄, 미나리

 


3. 정수생태계 (유입 생태계)

(1) 호소의 구분과 생물상

  • 연안대:
    • 빛이 바닥까지 도달.
    • 뿌리식물 서식(정수식물).
    • 호수 내 생산성 가장 높음(광합성 활발).
  • 조광대:
    • 햇빛이 잘 드는 개방 수역(보상수심까지).
    • 조류, 뿌리식물 서식(연안대보다 식생 적음).
  • 심저대:
    • 보상수심보다 깊은 저수지 저부.
    • 광합성보다 호흡량이 많아 혐기성 박테리아 분포.
  • 저니대:
    • 바닥층, 용존산소(DO) 농도가 충분해야 생물 생존 가능(곤충, 갑각류 등).

(2) 에너지 흐름과 영양단계

  • 에너지 흐름:
    • 식물성 플랑크톤 → 동물성 플랑크톤 → 무척추동물 → 작은 어류 → 육식어류
    • 수평적 대상 분포 뚜렷.

(3) 호소의 성층과 전도현상

  • 성층 현상:
    • 온도 밀도 차이로 인해 층이 형성됨.
    • 표수층(순환층): 바람에 의해 순환류 형성, DO(용존산소) 높아 호기성 상태 유지.
    • 수온약층(변온층): 수온이 급격히 변화하는 층(1m당 ±0.9℃).
    • 정체층(심층수): 최하부, 온도차에 따른 물 유동 없음, DO 부족, 혐기성 미생물 존재.
    • 성층 파괴 방법:
      • 차가운 심층수를 수면으로 펌핑하여 폭기.
      • 강제 순환 및 심층수 선택적 배수.
  • 전도현상:
    • 연직 방향으로 순환 밀도류 발생 → 수괴 안정성 불안정.
    • 봄·가을 순환 발생.
    • 영향:
      • 수직 혼합 촉진 → 호소 내 수질 평균화 → 자정 능력 증가.
      • 심층부 영양염이 표층으로 이동 → 조류 번성 → 부영양화 촉진.
      • 심층부 혼합으로 상수원 취수심도 변화 → 수도 수질 악화 가능.

(4) 빈영양호와 부영양호

구분 빈영양호 부영양호
물 색깔 청색 또는 녹색 녹색 또는 황색
투명도 8m 이상(크다) 2m 이하(작다)
pH 중성~약산성 중성~약알칼리
영양염류 소량 다량
현탁물질 소량 플랑크톤과 그 사체, 부유 물질 다량
용존산소(DO) 진층에 포화에 가까움 표층 과포화, 심수층 현저히 감소
저서동물 종 다양, 산소 부족에 약한 종 산소 부족에 강한 종
식물플랑크톤 빈약, 주로 규조류 풍부, 여름·남조류, 편모조류
어류 수가 적음 수가 많음

 

함께보면 좋은 글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습지생태계, 생태계 보전을 위한 대책

1. 습지생태계람사협약에 의해 종 다양성 보존 및 환경보전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인식됨.생물학적, 화학적, 유전자 자원의 원천이며, 저장고 역할 수행.생산성 크기 비교:열대 늪지 > 온대 지방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