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 Ctrl+F 단축키를 사용하시면 원하시는 내용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서양의 조경
1. 그리스
가) 아고라(Agora)
① 도시의 중심에 형성, 공공건물로 둘러싸임, 시장과 교역기능 밀집
② 인간의 이용을 중심으로 한 공간으로 분절시켰으며 부정형이었다
나) 아도니스 정원
① 아도니스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사 지낼 때 부인들이 밀, 보리 등을 심어 지붕 위에 올려놓고 아도니스 기렸음
② 옥상정원과 포트가든으로 발달
다) 공공조경: 성림, 아카데미, 김나지움
2. 고대 그리스
가) 메가론(Megaron)이라 불리는 중정 형태가 등장한 시대
3. 고대 그리스 일반시민의 주택
가) 가족 공용실을 통해 각 실로 통하는 내향식 주택
나) 단순하고 기능적이며, 거리의 소음으로부터 격리
다) 중정은 돌 포장, 방향성 식물, 대리석 분수로 장식된 부인들의 취미공간
4. 바빌론-공중정원(Hanging Garden)
가) 세계 7대 불가사의 가운데 하나, 네브카드네자르 2세가 왕비를 위하여 축조함
나) Hanging Garden 또는 가공원이라 한다
5. 지구라트(Ziggurats): 주요 도시 사원에 지어진 피라미드 형태의 거대한 계단식 구조물
가) 옛 Sumerian Temple로서 신들의 거처로 여겼다
나) 신성스런 나무숲과 맨 꼭대기에는 사원이 있었다
다) 평원에 이집트의 피라미드에 비교될만한 인공산과 같은 높이로 단을 쌓아 올렸다
라) 주된 형태요소는 점이다(직선이 아니다)
6. 고대 이집트
가) 나일강을 중심으로 예배신전은 동쪽(해 뜨는 곳: 탄생), 장제신전은 서쪽(해 지는 쪽: 죽음)에 입지
나) Kiosk: 연못가에 설치한 파고라 / Kiru: 정원
다) 상(上)이집트: 연꽃 / 하(下)이집트: 파피루스 상징
7. 이집트 피라미드
가) 분묘건축의 일종으로서 마스터바(Mastaba)도 여기에 포함된다
나) 선의 홈(Ka)를 통해 태양신(Ra)에게 접근하려는 탑이다
다) 인간이 세운 가장 거대한 상징으로 볼 수 있다
8. 델 엘 바하리(Deir-el Bahari)
가) Hatshepsut 여왕의 장제신전
나) 인공과 자연의 조화
다) Punt보랑 석벽의 부조
라) 주랑건축 전면에 파진 식재구덩이
9. 이집트 주택정원 특징
가) 장방형의 화단, J연못, U울타리 등이 배치되어있다
나) 입구에는 탑문이 설치되어있다
다) 원로에는 관개수로와 정자가 있다
라) 높은 담과 물의 이용, 녹음수 활용이 특징
10. 샤린가든(Shrine Garden)-이집트 현존 최고의 신원
가) 핫셉수트 여왕의 장제신전이다
나) 데르 엘 바하리의 산속 절벽 밑에 입지하였다
다) 3개의 경사로와 큰 중정을 지나 성소로 인도된다
11. 페르시아
가) 파라다이스 정원
① 맑은 시내, 신선한 녹음과 풍성한 과수, 담으로 둘러싸인 곳
나) 이스파한(Isfahan) 정원양식
① 16세기 압바스 왕이 왕궁을 옮겨 시가의 형태를 정비하였다
② 체하르 바 라고 불리는 7km이상 넓게 뻗은 도로가 있다
③ 거리에는 '마이단' 이라고 부르는 380x140m나 되는 장방형의 공원광장이 있다
④ 도로 중앙에 노단과 수로 및 연못이 있고 양가에 가로수가 심겨져 있다
12. 고대 메소포타미아 정원
가) 관개용 수로를 기본적으로 배치하였다
나) 높은 담으로 둘러싼 뜰 안을 기하학적으로 배치함
다) 방형의 공간에 천국의 4대강을 뜻하는 파라다이스 개념의 수로를 배치함
라) 도시가 의도적, 계획적으로 건설.
13. 이슬람정원 특징
가) 카나드(Canad)에 의해 물 공급
나) 차가운 물과 맑은 샘을 동경하여 분수 등을 설치
다) 정원의 유형은 경사지 정원과 평지정원으로 구분
라) 경사지 정원에는 키오스크(Kiosk) 설치
마) 정원은 보통 주건물의 북향이나 동향에 위치, 프라이버시 확보.
바) 물은 모스트(Mosque)안에서 의식용의 못이 되었다
사) 연못 형태는 규칙적인 4각형, 8각형, 원형이 대부분이다
아) 이슬람 세력의 동진으로 인도 무굴제국 정원 발달에 기여함
자) 이슬람교와 관련된 '파라다이스' 개념이 정원내의 수로 등에 표현되었다.
14. 인도 무굴왕조
가) 아차발 바그(Achabal Bagh)
① 물의 약동성, 비스타의 강조, 단풍나무의 녹음과 가을풍경이 특징
② 히말라야 산록에 접한 산장
나) 샬리마르 바그(Shalimar Bagh)
① 5단의 테라스로 조성, 상단 정자주변 대규모 분수
다) 니샤트 바그(Nishat Bagh)
① 경사지를 이용한 12단의 테라스와 캐스케이드, 차경원으로 유명
② 무굴정원중 가장 화려한 정원
라) 차하르 바그(Chahar Bagh)
① 4개의 수로로 분할되는 4분 정원의 기원
마) 고대인도(무굴제국) 정원요소: 물, 연꽃, 녹음수
바) 생전에는 정원에 정자 등 화려한 건물을 지어 즐기다가, 사후에는 그곳을 그대로 묘소나 기념관으로 사용함
15. 로마 시대
가) 빌라의 발달, 정원을 호르투스라고 부름
① 호르투스 초기구성요소: 약초밭, 과수원, 채전(채소밭)
나) 주택의 축선상에 놓인 공간 배열: 도로-출입구-아트리움(Atrium)-페리스틸리움(Peristyle)-지스터스(Xystus)
다) 아트리움(Atrium)-공적 기능
① 손님 접대, 상담을 위한 공적 공간, 무열주 중정, 돌 포장과 화분장식 함
라) 페리스틸리움(Peristyle)-주정, 가족용 사적 기능, 식재 가능
① 식재는 주로 오점식재법에 의해 행하여짐
② 조경요소: 수반, 꽃, 탁자
마) 지스터스(Xystus)-후원
① 과수원이나 채소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정원시설이 갖추어지는 일이 있다
② 고대로마 개인주택에서 5점형 식재나 실용원이 꾸며진 장소
16. 베티가(House of Vettii)-로마제국 폼페이
가)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의 구분이 모호하다
나) 2개의 중정과 지스터스로 이루어져 있다
다) 아트리움과 페리스틸리움을 갖추고 있다
17. 포럼(Forum)-고대로마 공공광장
가) 유형: 일반광장, 황제광장, 시장광장
나) 지배계급을 위한 상징적 공간, 그리스 아고라와 같은 대화의 광장
다) 기념비적이고 초인간적 스케일 사용
18. 중세의 조경
가) 실용원: 자급자족하기 위한 공간. 채소원, 약초원, 과수원
나) 클로이스터 가든(Cloister Garden, 회랑식 중정)
① 중정은 4부분으로 구성, 중정의 중앙에는 분수 설치되어 있음
② 2개의 직교하는 원로에 의해 4분할
③ 화목, 잔디, 초본류 위주로 식재함
④ 교회건물의 남쪽에 위치한 네모난 공지
⑤ 회랑의 기둥사이로 흉벽이 있는 중정, 폐쇄적 형태
⑥ 수도원 내의 다른 건물들에 의하여 둘러싸여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19. 중세의 정원설명
가) 파티오가 발달한 곳은 스페인이다
나) A.D 4~5C부터 약 1000년 동안의 기간이다
다) 건축과 정원은 교회의 존엄성을 나타내기 위해 존재했다
라) 전기는 수도원 조경, 후기는 성관 조경이다
① 수도원 중원 중정의 교차점에는 파라디소라 하여 분천을 두거나 큰 나무를 식재하였다
20. 회교식 정원양식(사라센)-중세
가) 중세의 페르시아, 스페인, 인도는 회교식(사라센식) 정원양식
21. 장원제도(Feudal System)속에서 발달된 조경양식 특징
가) 내부공간 지향적 정원 수법(도시의 중심인 성곽을 중심으로 성곽 내부에 폐쇄적인 정원연출)
22. 수도원
가) 세인트 갤 수도원(St. Gall): 수도원 정원이 자세히 그려진 평면도가 발견된 중세 수도원
23. 수렵원(고대 서부 아시아)
가) 인공으로 언덕을 만들어 정상에 신전 세우고, 이로 인해 생긴 저지대에 인공호수 조성
나) 언덕에 소나무, 사이프러스로 관개를 위해 규칙적으로 식재
다) 오늘날 공원의 시초가 됨
라) 니네베(Nineveh)의 인공 언덕위에 세워진 궁전 사냥터가 유명함
24. 이탈리아 테라스식 정원 발달하게 된 결정적인 환경: 지형과 기후
이어서 서양조경사 2편으로..
[조경기사 정리] 조경사: 서양의 조경 ②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사: 서양의 조경 ①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
now-joo.tistory.com
2과목인 조경 계획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경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계획: 총정리①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사: 한국의 조경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now-joo.tistory.com
'자격증 > 조경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기사 정리] 조경사: 서양의 조경 ③ (3) | 2024.02.04 |
---|---|
[조경기사 정리] 조경사: 서양의 조경 ② (1) | 2024.02.04 |
[조경기사 정리] 학명 기출 빈도 정리(2010~2020년) (1) | 2024.02.04 |
2021년 1회 조경기사 실기 합격후기(학원, 안양공고 제도판) (0) | 2022.09.05 |
2021년 1회 조경기사 필기 합격후기(직장인, 전공자, 운따위 없는 사람) (0) | 2022.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