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조경 기사

2021년 1회 조경기사 실기 합격후기(학원, 안양공고 제도판)

by by nowjoo 2022. 9. 5.
반응형

조경기사 실기합격

 

조경기사 실기까지 합격하게 되어 후기를 남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조경기사에 대한 설명은 타 블로그나 큐넷 홈페이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니 저는 개인적인 소감 정도만 적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1회 조경기사 필기 합격후기(직장인, 전공자, 운따위 없는 사람)

요즘에는 다 대학 졸업 전에 취득하는 조경기사를, 저는 이제야 취득했습니다. 졸업한지도 좀 되었고, 회사 다니면서 공부했기 때문이죠. 우선 강조하고 싶은 건 누구나 그렇듯 저는 운 없음, 찍

now-joo.tistory.com

 


학원 vs 독학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는 학원을 다녔고, 내일배움카드로 다녀서 자비부담금 일부를 내고 다녔습니다. (토, 일 5주)

​학원을 선택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적산을 배워본 적이 없다
2. 의지가 약하다

​일단 전공자고, 자연생태복원기사를 독학해서 도면 그리기는 가능했고, 적산은 배워본 적 없는 상태여서 학원을 선택했습니다.

학원을 다녀본 후 개인적으로  느낀 점은 '인터넷 강의만 들어도 되겠다'였습니다.(전공자 기준)

학원이 멀거나, 주말을 통째로 비울 수 없는 경우에는 인강을 듣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부분 조경기사의 인터넷 강의는 실제 강의실에서 하는 강의 내용을 촬영해서 그대로 올리기 때문에 학원에 가서 듣는 것과 내용이 동일한 듯합니다.


학원의 장점과 단점(지극히 개인적임)


장점:
1. 적산을 알려준다
2. 개인적으로 도면을 그려보지 않아도 학원에서의 절대적 연습시간이 있다.

​단점:
1. 학원'만' 다녀서는 합격 못한다. 기본적인 것만 가르쳐주기 때문에 응용은 혼자 해야 한다. 
2. 도면 체크가 꼼꼼하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학생은 많고 선생님은 한분이기도 하고, 내가 그린만큼 피드백이 오기 때문에 못 그리면 피드백도 없다. 


이런분한테는 독학을 추천합니다.
1. 집에서도 혼자 연습할 의지가 있다
2. 적산을 배웠다던가(전공자), 도면의 형태를 알고 그려본 적이 있다

​요샌 당근마켓에 제도판 치면 쉽게 살 수 있어서 도면에 지식이 있다면 인강+독학도 좋을 거 같습니다. (합격하고 다시 팔면 되니까) 


적산 후기

목표 점수 최소 25점 이상(만점 40점)

​적산 공부방법은 간단합니다.

1. 공식 외우고, 기출문제를 돌립니다. (2010년~최근 '기사' 문제)
2. 두 번째 풀 때는 잘 안 되는 것만 풀기
3. 시험장 가서 '단위' 신경 쓰기(매우 중요!)

문제가 반복되고, 달라져도 약간의 변형만 있지 큰 틀은 비슷하기 때문에 대부분 적용이 가능합니다. (저는 야장이나 내역서 같은 것을 연습할 때 지우개로 계속 지우기 싫어서 기화펜 사서 썼는데 좋았습니다.)

반응형

제가 시험 본 2021년 1회 적산은 이런 문제 나왔습니다. 

1. 등고선 구하는 문제
2. 바나나 곡선 그리고 예시 적기
3. 백호, 덤프트럭
4. 벽돌 1.5B 내역서
5. 생육 심도
6. 야장
7.사각분할법, 굴삭기


​솔직히 말하면 저는 적산 만점 받을 생각으로 공부했습니다.

근데 1번 등고선 문제는 처음 보는 문제였고, 문제의 지문 자체가 이해가 안 돼서 그냥 아무 풀이나 썼습니다. 틀렸겠죠..

그리고 야장도 마스터했다고 생각했는데, BS인가.. No.0에 없고 No.2같이 중간에 들어가 있어서 도통 뭘 넣어도 검산이 안 맞아서 그냥 포기하고 쓴 거 냈습니다.
문제 보고 약간 당황은 했지만 점수 보니까 저거 두 개 빼고는 다 맞은 것 같았습니다!​

 


적산은 공식 외우고, 반복적으로 연습하면 수포자들도 충분히 풀 수 있는 산수 수준이고, 점수를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도면은 내가 아무리 잘해도 심사위원이 글씨체 반듯하지 않네, 도면이 더럽네, 중앙이 안 맞네, 수종이 틀렸네 뭐 등등 점수를 깎는 기준이 명확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채점기준을 공개하지도 않기 때문에 최대한 적산에서 점수를 따놓는 게 가장 안전한 합격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적산 버리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연습하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도면 후기

목표 점수 최소 45점 이상(만점 60점)

​도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빼먹지 않고, 시간 안에 그리기가 중요합니다.
완성을 해야 채점기준에 들어가기 때문에, 한 장이라도 완성하지 못하면 채점도 안 해주니 일단 완성이 중요!

 

​1. 당황하면 빼먹기 쉬운 방위, 스케일, 도면 제목 등을 먼저 그리는 걸 추천
2. 도면 그리는 건 시설물-식재-개념도 순서
3. 문제를 받으면 실기 책 모범답안의 틀이 생각나도록 A4용지나 태블릿에 그려보기

​학원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다닌 학원은 수목 수종을 지정해준다거나 그런 건 없었습니다. 새로운 기법을 배웠다고 생각이 드는 건 딱히 없고 '의지박약인 저를 일정 시간 앉혀놓고 그리게 만들었다'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본 2021년 1회 시험에선 옥상정원이 나왔고, 너무 쉬운 도면이 나온 탓에 채점을 깐깐하게 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역시나 깐깐했던 것 같습니다. 하라는 거는 다 했는데 점수가 생각보다 안 나왔더라고요.


조경 자격증 카페에 합격 수기 올리신 다른 분들도 보니까 예상보다 도면 점수를 많이 못 받았다는 글을 본 기억도 있습니다.

 


안양공고 제도판

 

안양공고 제도판 2021년 5월(출처: 직접촬영)

 

사진이 문제 될 시 내리겠습니다. 옆에 책상을 배치해 놓아서 제도 용품 올려놓는데 문제없었습니다.


학원을 다니면서는 공부를 따로 한적은 없습니다. 학원 종강하고 시험 전 약 2주 동안 적산 공부를 했고, 도면을 A4에 한 번씩 그려보면서 나올 것 같은 도면 위주로 자주 들여다봤습니다.

​특별한 공부법이 없어서 정말 후기 위주로 적어보았는데, 합격 방법에 정답은 없지만 개인적으로 적산 공부를 잘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들 한 번에 합격하세요. 파이팅!


 

 

2020년 3회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합격 후기(직장인, 독학)

안녕하세요. 조금 지났지만 자연생태복원기사 후기 올려보려고 합니다. 저는 조경 전공으로 원래는 조경기사를 딸 생각이었는데, 조경기사가 필기가 워낙 악명이 높다 보니, 그러면 자연생태복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