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조경 기사

[조경기사 정리] 조경관리론: 총정리 ①

by by nowjoo 2024. 3. 4.
반응형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 Ctrl+F 단축키를 사용하시면 원하시는 내용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시공구조학: 총정리 ②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Ctrl+F 단축키를 사용하시면 원하시는 내용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시공구조학:

now-joo.tistory.com

 

지난번 포스팅까지 조경 시공구조학을 정리했습니다.

이번부터는 조경기사 드디어 마지막 과목인 6과목 조경관리론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조경관리론 ①

1. 운영관리: 재산관리, 조직관리, 예산관리


2. 운영관리방식
   가) 직영방식: 관리주체가 직접 운영
    나) 도급방식: 관리전문 용역회사나 단체에 위탁하는 방식

  장점 단점
직영    책임소재, 관리책임 분명
   긴급한 대응이 가능하다
   관리실태를 정확히 파악가능
 
도급    전문가 합리적으로 이용가능
   관리비가 싸다
   관리주체가 보유한 설비로 불가능한 업무에 적합
   책임소재나 권한 범위 불분명

 

 

3. 설치하자에 의한 사고
    가) 시설 구조 자체 결함: 접합부 손 끼임, 사용상 내구성이 다하는 등의 결함
    나) 시설 설치의 미비: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시설이 쓰러지거나 부서지는 등
    다) 시설 배치의 미비: 그네에서 뛰어내리는 곳에 벤치가 배치되어 충돌하는 등


4. 사고처리 순서
    가) 사고자의 구호-관계자에게 통보-사고상황 파악 및 기록-사고책임자의 명확화


5. 주민참가의 발전과정(안시타인의 3단계)
    가) 1단계: 비참가(조작, 치료)
    나) 2단계: 형식적 참가(정보제공, 상담, 유화)
    다) 3단계: 시민권력의 단계(파트너십, 권한이양, 자치관리)


6. 공정표
    가) 사선식 공정표(바나나모양 공정표임)
        ① 작업의 관련성을 나타낼순 없으나 공사의 기성고를 표시하는데 편리
        ② 각 부분공사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공정표에 적합하지만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
    나) 네트워크 공정표
        ① 작성하고 보기가 어렵다
        ②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는 전체공기를 규제하는 작업과정이다
        ③ 계획단계에서 공정상의 문제점이 명확하게 되어 작업 전에 적절히 수정할 수 있다.


7. 간트 차트(Gantt Chart)
    가) 횡선식공정표로서 각 작업의 완료시점을 100%로 하여 가로축에 그 진행도를 표현하는 것


8. 모니터링 시스템-자연공원 동식물 서식지 확대 위함
    가) 신뢰성 있는 기법의 도입
    나) 최소비용의 도모
    다) 위치 선정의 타당성
    라) 영향을 유효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설정

9. 레크리에이션 공간관리 5가지 기본전략
    가) 완전방임형: 과잉이용에 따른 자연파괴가 심각한 상황에선 적용될 수 없는 개념
    나) 폐쇄 후 자연회복형
        ① 회복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
        ② 자연회복력에 의해 원상복구 되는 것이 바람직한 자원중심형 자연지역에 적용
    다) 폐쇄 후 육성관리
        ① 손상된 부지 폐쇄, 단기간에 빠른 회복을 위해 육성 관리하는 방법, 짧은 폐쇄
        ② 이용자에게 불편을 적게 줄 수 있음
        ③ 손상이 심한 부지에 적합하다
    라) 순환식 개방형: 순환식 개방에 의한 휴식시간 확보
        ① 국립공원을 포함한 자연공원에서는 휴식년제를 실시하고 있다
        ② 충분한 시설과 공간이 확보되어야 순차적 휴식 가질 수 있음
    마) 계속적 개방과 이용상태에서 육성관리


10.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 결정인자
    가) 고정적 결정인자(공간/활동의 표준)
        ① 특정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 정도(활동의 특성)
        ② 특정활동에 필요한 사람의 수(ex. 야구담당 9명)
        ③ 특정 활동에 필요한 공간의 최소면적(ex. 야구장 면적)
    나) 가변적 결정인자(물리적 조건, 참여자 상황)
        ① 대상지의 성격, 대상지의 크기와 형태
        ② 대상지 이용의 영향에 대한 회복능력
        ③ 기술과 시설 도입으로 인한 수용능력 자체의 확장 가능성 등


11. 레르리에이션 수용능력 분류방법-펜폴드(Penfold)
    가) 물리적 수용능력(시설의 수용능력)
    나) 생태적 수용능력: 어느 정도의 자연크기에 사람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을까?
    다) 심리적 수용능력: 편안한 기분을 느낄 수 있는 수용능력은 얼만일까?


12. 레크리에이션 
    가) 수용능력 기본요소: 관리목표, 이용자 태도 및 선호도, 물리적 자원에의 영향
    나) 관리계획 3가지 기본요소: 이용자, 자연자원기반, 서비스 관리
    다) 프로그램 단계: 부지관리, 식생관리, 경관관리, 생태계 관리, 안전(장해)관리
    라) 레크리에이션 서비스관리 제한인자: 관련법규, 전문가적 능력, 이용자태도, 관리자의 목표


13. J.V.K Wagar-수용능력 발전
    가) 수용능력의 개념을 종래의 생태적 측면에서 이용자의 레크리에이션 질 및 만족도 등의 사회, 심리적 측면으로까지 확대발전 시키는데 기여한 사람

14. 비료 시비법
    가) 표토시비법
        ① 작업이 신속하여 좋으나 비료의 유실이 많다
        ② 질소시비에 적당함, 인과 칼륨은 좋지 않음
    나) 토양내 시비법
        ① 용해하기 어려운 비료를 시비하는데 효과적
    다) 엽면시비법
        ① 물에 희석하여 엽면에 직접 살포. 미량원소 부족 시 효과가 빠름
        ② 비료의 농도는 보통 1~2% 정도의 희석액을 사용, 다소 약하게 자주 실시
        ③ 희석농도가 높으면 잎이나 어린 눈이 피해 입음
        ④ 이식목의 활착, 동해회복에는 엽면시비가 효과적
        ⑤ 맑은날 오전을 택한다
    라) 수간주사법
        ①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에 적용한다
        ② 노목, 경제성이 높은 수종에 적당함. 물관부에 영양제 공급
    마) 기비(밑거름)는 휴면기에 시비한다
    바) 추비(덧거름)는 생육초반기(봄)에 주로 시비한다
    사) 수관 외주선의 지상투영 부위 20cm 내외: 일반적으로 성숙된 조경수목의 효과적인 비료 주는 부위 


15. 비료의 화학적 반응: 비료 자체의 수용액 고유의 반응


16. 시안아미드태 질소
    가) 탄소와 화합한 질소화합물로서 물에 녹아 비교적 빨리 비효를 나타내지만 그 자체로는 유해하며 함유하는 비료로는 석회질소가 대표적인 질소형태


17. 암모니아태: 질소질 비료의 형태에서 토양광물 콜로이드(colloid)에 가장 잘 흡착되는 것


18. 난균류
    가) 유주포자를 형성하는 균류
    나) 난균류는 색조류에 속하는 유사균류로, 휴면포자는 난포자, 무성포자는 유주포자 또는 유주포자낭이다

19. 비료
    가) 요소(질소질 비료)
        ① 녹는점 이상에서 생성되는 뷰렛은 발아초기 식물에 유해
        ② 화학적으로나 생기적으로 중성.황산근(SO42-)이 들어있지 않아 노후화 논에 사용가능
        ③ 토양중 각종 미생물에서 분비되는 가수분해효소로 분해되는 최종산물은 CO2와 암모니아
        ④ 순수한것은 무색의 주상결정이나 비료로 쓰이는 것은 흡수되어 백색
    나) 과인산석회(비료)-산성비료
        ① 질산나트륨(질산태질소비료)과 혼용하면 불리함, 시비효과를 떨어뜨린다
            ▪ 질산태질소(칠레초석, 질산암모니아)와 산(과인산석회)이 작용하면 무수질산으로 되어 휘발한다
        ② 주성분이 인산1칼슘과 황산칼슘
        ③ 회백색 또는 담갈색의 분말
        ④ 강산성이고 특유의 냄새가 있다
        ⑤ 염기성 비료와 배합하면 좋지 않다
    다) 질산태질소 화합물에 산성비료를 배합하면 질산으로 휘발된다
    라) 생석회
        ① 물과 작용하면 소화되어 수산화칼슘으로 변한다
        ② 주성분 즉 CaO 및 MgO가 최소량으로 80%이어야 한다
        ③ 토양산성의 중화와 토양의 물리적 성질개량에 매우 효과적이다
        ④ 석회석(Limestone)을 태워 CO₂ 를 제거시켜 제조하는 석회질 비료
    마) 작물 직접흡수 가능한 질소비료: 무기태질소, 질산태질소, 암모늄질소

20. 비료의 화학적 반응
    가) 과인산석회는 산성비료이다
    나) 비료의 수용액 고유의 반응을 말한다
    다) 식물이 뿌리로부터 양분을 흡수하는 것은 그 양분이 가용성이어야 한다


21. 비료의 4요소
    가) 질소(N): 광합성작용 촉진, 잎이나 줄기등 수목생장에 도움 준다
        ① 질소결핍현상
            ▪ 조기낙엽현상
            ▪ 활엽수의 경우 성숙잎은 황록색으로 변한다
            ▪ 복엽의 경우 정상적인 잎보다 수가 적다
    나) 인산(P): 세포분열 촉진, 꽃, 열매, 뿌리 발육에 관여
    다) 칼륨(K)
        ① 상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속효성 비료를 주는 동시에 늦가을 까지 가지가 도장되지 않도록 줌
        ② 꽃, 열매의 향기, 색깔을 조절하므로 부족하면 황화현상 일어남
    라) 칼슘(Ca)
        ① 단백질합성, 질소의 흡수 및 이용조장, 분열조직의 생장과 뿌리털의 발육에 필수적
        ② 식물체 내에서는 극히 부동성이며 세포막을 강건하게 함, 체내의 독극물질 중화


22. 인산 3칼슘: 과석, 종과석과 같은 가용성 인산비료에 석회질 비료를 함께 배합할 경우 비효가 감소하는 원인 물질


23. 원소
    가) 다량원소: C, H, O, N, P, K, Ca, Mg, S
        ① 마그네슘(Mg)-망간(Mn): 길항관계(효과를 서로 상쇄시킴)
        ② 칼륨(K): 기공의 개폐에 관여
        ③ 인(P)
            ▪ 세포핵, 분열조직, 효소 등의 구성성분이며, 식물 생명을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 전이의 필수요소
            ▪ 양분의 결핍현상으로서 활엽수는 잎맥, 잎자루, 잎의 밑부분이 적색으로 변하고 조기낙엽현상
            ▪ 꽃의 수는 적게 맺히며 열매의 크기가 작아진다
        ④ 칼슘(Ca)
            ▪ 세포막의 정상적인 기능에 기여하며, Amylase효소 등의 활성제 역할 한다
            ▪ 무기양분 결핍에 따른 활엽수에서 나타나는 증산은 신엽에서 주로 나타나 생장점의 발육저하로 잎 끝이 꼬이고 잎이 작아진다
    나) 미량원소: Fe, Cl, Mn, Zn, B, Cu, Mo
        ① 아연(Zn)이 결핍되면 잎이 작아지고 괴사반점으로 얼룩진다
        ② 망간(Mn)
            ▪ 결핍시 잎이 누렇게 변색시키며 새순의 왜성화를 일으킨다
            ▪ 결핍에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은 엽록체이다. 활엽수의 경우 잎이 황색으로 변하고 엽맥을 따라 녹색선이 생긴다
            ▪ 결핍시 열매는 크기가 작다, 침엽수의 경우 철분부족현상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어렵다
        ③ 철(Fe)
            ▪ 철의 결핍은 산성토양보다 알칼리 토양에서 더 쉽게 일어난다
            ▪ 황화: 철분결핍으로 인해 수목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이상증상
        ④ 붕소(B)
            ▪ 화분관의 생장 및 핵산과 섬유소 합성에 관여한다
            ▪ 식물체 내에서 이동이 어려운 영양소임
        ⑤ 몰리브덴(Mo)
            ▪ 식물체내의 질소고정작용에 가장 필요한 원소

 

반응형

 

24. 병해

바이러스병 모자이크병, 사과나무 고접병
파이토플라즈마에 의한 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뽕나무 오갈병
세균병 뿌리혹병, 불마름병, 뽕나무 세균성 오갈병, 탄저병
진균 자낭균 벚나무 빗자루병, 흰가루병, 그을음병, 낙엽송 잎떨림병
  담자균 잣나무 털녹병, 소나무 잎녹병, 오리나무 줄기마름병, 가문비나무 줄기썩음병

 

    가) 파이토플라스마 감수성: Tetracycline
    나) 빗자루병: 벚나무, 오동나무, 대추나무
    다) 전염성 병: 바이러스에 의한 병, 진균에 의한 병, 종자식물에 의한 병 
    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대표적 병징: 위축, 잎말림, 얼룩무늬
    마) 파이토플라스마 전염방법: 접목전염, 새삼전염, 매개충전염
    바) 병원체가 종자 표면에 부착하여 전반 되는 것: 오리나무 갈색무늬 병균
    사) 모과나무: 붉은별무늬병, 점무늬병, 갈색무늬병
    아) 녹병균: 병포자, 수포자, 여름포자, 겨울포자, 담자포자
        ① 담자포자: Gymnosporangium asiaticum이 향나무에서 배나무로 침입하는 포자 형태
    자) 황벽나무: 소나무 잎녹병의 여름포자 중간숙주
    차) 식물체 부위 이상비대, 이상증식 및 비정상적 생장 병징: 무사마귀(clubroot), 잎오갈(leaf curls), 혹(galls)
    카) 바람에 의한 전반: 잣나무 털녹병균, 밤나무 줄기마름병
    타) 토양에 의한 전반: 장미 근두암종병균
    파) 종자에 의한 전반: 오리나무 갈색무늬병균
    하) 방사상균: Streptomyces
    가) 동백나무 쟂빛곰팡이병균: 단일균사에 의하여 각피침입을 하는 병원체
    나) 균핵: 식물 병의 주요한 표징 중 영양기관에 의한 것
    다) 잣나무 털녹병 예방: 중간기주의 제거

25. 모과나무, 명자꽃 등 장미과 나무 가까이 향나무 심지 않는 이유
    가) 향나무는 붉은별무늬병의 중간 기주이기 때문이다


26. 표징: 병의 진단에 가장 확실한 증거를 보여주는 것
    가) 포자, 자실체, 균사조직


27. 샤이고메터(Shigometer)
    가) 수목의 목재썩음병의 진단에 이용되는 기기이다
    나) 수목의 활력도, 형성층의 사활여부, 수간부패 탐색할 수 있는 도구

 

28. 병해: 수목생장에 영향을 끼치는 저해 요인들 중 상대적으로 비율이 가장 높은 것


29. 병해 설명 및 방제법
    가) 벚나무 빗자루병
        ① 자낭균에 의한 병, 잎 뒷면에 회백색의 가루와 같은 자실층을 형성함
        ② 잔가지가 총생한다, 전신성 병은 아니다
        ③ 증상이 나타난 가지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나) 대추나무 빗자루병
        ① 방제약제: 옥시테트라사이클린수화제
        ②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충매전염
        ③ 주요 병징은 황화, 절간생장축소, 엽화현상
        ④ 표징이 나타나지 않음
    다) 오동나무 빗자루병
        ① 담배장님노린재 매개충, 충매전염
    라) 소나무 재선충병(소나무 시들음병)
        ① 주요 매개충은 솔수염하늘소(유충월동), 병원선충은 재선충
        ② 갑자기 침엽이 변색하며 나무 전체가 말라 죽는다
        ③ 감염된 나무를 베어내어 훈증하는 것은 매개충을 구제하기 위한 것이다
        ④ 소나무재선충의 암컷 체장은 약 0.8~1.2mm이다
        ⑤ 아바멕틴유제와 같은 살충제를 수간에 직접 주입하여 예방한다
    마) 뽕나무 오갈병: 마름무늬 매미충에 의해 충매전염
    바) 소나무 푸사리움가지마름병
        ① 수지가 흐르며, 궤양이 큰 곳은 수지량이 많고 굳어서 흰색으로 보임
        ② 우리나라 적송과 잣나무는 저항성
        ③ 병원체는 불완전균인 Fusarium circinatum이다
        ④ 바람이나 곤충에 의한 포자이동 감염, 특히 딱정벌레목의 나무좀류가 감염된 나무에서 확산
    사) 소나무 잎마름병: 봄에 잎에 띠 모양의 황색반점이 생긴다
    아) 참나무 시들음병
        ① 참나무류 중에서 신갈나무에 가장 피해가 심하다
        ② 피해입은 나무는 7월말경부터 빠르게 시들면서 빨갛게 말라죽는다
        ③ 매개충의 암컷 등에는 포자를 저장할 수 있는 균낭이 존재
        ④ 병원균은 Raffaelea sp. 이고 매개충은 광릉긴나무좀
    자) 리지나뿌리썩음병(Rhizina Root Rot): 산불 발생 직후에 특히 많이 발생되는 수목 병해
    차) 가지마름병
        ① 단풍나무 가지 부분에 암갈색의 병반이 생겨 점차 확대
        ② 병반은 약간 움푹 들어가며 작은 소립이 많이 형성되고 심하면 고사하는 병
    카) 잎녹병
        ① 포플러류 잎의 뒷면에 초여름부터 오렌지색의 작은 가루덩이가 생김
        ② 정상적인 나무보다 먼저 낙엽이 지는 현상
    타) 사철나무 흰가루병
        ① 원형 또는 동공형 병징이 형성된다
        ② 한번 발생한 나무에서는 거의 매년 되풀이해서 발생한다
        ③ 햇빛이 잘 들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곳에 있는 수종에 잘 발생한다
    파) 목재썩음병
        ① Ligninase: 목재썩음병에 관계하는 중요한 효소
    하) 매개충으로 인해 감염되어 가지치기나 전정으로 방제효과 가능한 수목병
        ① 소나무 잎떨림병
        ② 삼나무 붉은마름병
        ③ 낙엽송 잎떨림병


30. 병원체의 월동

기주의 체내 잣나무털녹병, 식물성바이러스
병환부 또는 죽은기주 밤나무줄기마름병, 오동나무탄저병, 낙엽송잎떨림병
종자에 붙어서 오리나무 갈색무늬병, 입고병
토양 중에서 입고병, 근두암종병, 밤나무잉크병

 

    가) 월동형태
        ① 낙엽송 가지마름병균(선고병): 자낭각


31. 불완전균류에 의해 병포자 형성
    가) 오리나무 갈색무늬병균

 

 


바로 조경관리론 2편으로 이어집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관리론: 총정리 ②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Ctrl+F 단축키를 사용하시면 원하시는 내용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관리론: 총정

now-joo.tistory.com

 

 


1과목인 조경사는 아래 경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사: 서양의 조경 ①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서양의 조경 1. 그리스 가) 아고라(Agora) ① 도시의 중심에 형성, 공공건물로 둘러싸임, 시장과 교역기능 밀

now-joo.tistory.com

 

2과목인 조경 계획은 아래 경로를 이용해주세요~

 

 

[조경기사 정리] 조경계획: 총정리 ①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사: 한국의 조경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now-joo.tistory.com

 

3과목은 조경 설계는 아래 경로를 이용해주세요~

 

 

[조경기사 정리] 조경설계: 총정리 ①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계획: 총정리 ③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now-joo.tistory.com

 

4과목인 조경식재의 링크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식재: 총정리 ① (+학명 기출빈도 정리 링크)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설계: 총정리 ②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now-joo.tistory.com

 

5과목인 조경시공구조학은 아래 경로를 확인해주세요!

 

 

[조경기사 정리] 조경시공구조학: 총정리 ①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Ctrl+F 단축키를 사용하시면 원하시는 내용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식재: 총정리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