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조경 기사

[조경기사 정리] 조경시공구조학: 총정리 ①

by by nowjoo 2024. 3. 1.
반응형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 Ctrl+F 단축키를 사용하시면 원하시는 내용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식재: 총정리 ② (+학명 기출빈도 정리 링크)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Ctrl+F 단축키를 사용하시면 원하시는 내용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식재: 총정리

now-joo.tistory.com

4과목 식재가 궁금하시다면 위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이번부터는 5과목인 시공구조학을 시작하려 합니다. 특히 총정리에서는 이론을 먼저 정리하고, 계산문제는 모아서 따로 정리본을 올릴 생각입니다. 

파이팅!


조경 시공구조학 ①

1. 시공관리 3대 기능
    가) 품질관리: 규정품질에 일치하는지
    나) 공정관리: 합리적, 경제적인 공정결정
    다) 원가관리: 예산수립, 원가관리


2. 시공관리의 4대 목표
    가) 품질관리
    나) 공정관리
    다) 원가관리
    라) 안전관리


3. 공정표
    가) 횡선식 공정표(bar chart)
        ① 단순공사. 시급한 공사
        ② 작성 쉽고, 공사내용 파악 쉬움
        ③ 작업의 선후관계, 세부사항 표기 어려움
        ④ 대형공사 적용 어려움
    나) 네트워크식 공정표
        ① 작업을 선행, 후속, 병행작업으로 순서 정하고 도식화하는 방법
        ② 공사의 상호관계가 명료
        ③ 컴퓨터이용이 용이함
        ④ 작성기간이 길고, 작성 및 검사에 특별한 기능 필요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CPM (Critical Path Method)
주목적 공사기간 단축 공사비용 절감, 공기단축
활용 신규사업, 비 반복사업, 대형프로젝트 반복사업, 경험 있는 사업, 작업표준이 확립된 사업
특징    결합점(node) 중심의 일정계산
   시간을 기본으로 한 관리법
   작업일정 계산시 3점 추정함(정상적, 비판적, 낙관적 시간)-신규사업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확률 계산
   작업(activity) 중심의 일정계산
   최장경로(CP)를 바탕으로 표준시간, 표준비용, 한계시간, 한계비용의 요소를 고려
   간접비도 고려하여 비용 최소화하는 경제적인 일정계획 추구

 

    다) 네트워크 용어, 작성
        ① 작업(activity): 공사를 구성하는 작업단위, 화살표로 표시하고 화살표에는 시종으로 동그라미를 표시한다
        ② 결합점(node): 작업이 결합하는 시작점, 환료점. 작업 전후에 O 표시. 선행작업 미완료 시 후행작업 개시 못함
        ③ 더미(dummy): 명목상 작업. 파선의 화살표 표시, 실제작업 없으므로 소요시간은 0(제로)임
        ④ 동일 네트워크에 있어서 동일 번호가 2개 이상 있어서는 안된다
        ⑤ 화살표의 윗부분에 작업명, 밑부분에 소요시간을 표기한다

4. 네트워크 공정표 공정계산
     가) 전체여유(TF)는 작업을 EST로 시작하고 LFT로 완료할 때 생기는 여유시간이다
     나) 복수작업의 LFT는 후속작업 중 LST의 최솟값으로 한다
     다) 복수작업의 EST는 선행작업 중 EFT의 최댓값으로 한다
     라) 종속 여유시간(DF)은 후속작업의 전체 여유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여유시간이다
     마) LST (Late Start Time): 공정이 가장 늦게 시작될 경우의 시점/ LFT (Late Finish Time): 공정이 가장 늦게 끝날 경우의 시점
     바) EST (Early Start Time): 공정이 가장 일찍 시작될 경우의 시점/ EFT (Early Finish Time): 공정이 가장 일찍 끝날 경우의 시점
     사) EFT>SDT (EFT는 EST보다 크다)
     아) FF<TF (FF는 TF보다 작다)
     자) DF=TF-FF
     차) 최초작업의 EST는 0으로 한다

5. 통계적 품질관리(QC)
    가) 산포도, 히스토그램, 특성요인도, 파레토도, 체크시트
    나) (기능계통도X)


6. 등고선 성질
    가) 강우 시 배수방향은 등고선에 수직방향
    나) 기존 등고선은 가는 점선, 계획등고선은 굵은 실선으로 표기
    다) 도면 안에서 폐합하는 경우는 산 정상이나 오목한 곳(요지凹)
    라) 볼록진 철경사(凸) 높은 쪽의 등고선이 간격이 넓음
    마) 오목진 요경사(凹) 낮은 쪽의 등고선이 간격이 넓음(멀어져 있음)


7. 등고선 종류와 간격

  1:50,000 1:25,000 1:5,000
주곡선 20m 10m 5m

 

8. 오차의 종류
    가) 정오차: 오차가 일어나는 원인이 명백. 보정 가능함. 기계에 영향 미치는 온도, 습도, 기압 등에 의해 일정한 크기와 방향으로 나타나는 오차를 말함, 
    나) 부정오차: 원인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최소제곱법 원리를 사용하여 처리, 아무리 주의해도 피할 수 없는 오차


9. 목재의 심재, 변재
    가) 수심: 나무 중심에 형성된 적은 양의 연한 조직
    나) 심재: 수심에 가까운 옅은 목질 부분
    다) 변재: 껍질에 가까운 짙은 목질 부분
    라) 일반적으로 심재는 변재에 비해 강도가 강하다
    마) 변재는 심재보다 비중이 적으나 건조하면 변하지 않는다
    바) 변재가 내후성이 작다
    사) 변재의 세포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제재 후에 부패하기 쉽다


10. 목재의 비중에 영향인자
    가) 수종
    나) 수령
    다) 연륜폭(생장률)-추재율
    라) 생장한 지리적 위치에 따라
    마) 방사방향과 수고방향에 따라


11. 목재관련 현상
    가) 이방성: 목재의 길이 방향, 횡단 방향에 따라 물리, 기계적 성질이 달라지는 특성
    나) 이력현상: 같은 재료일지라도 탈습과 흡습에 따라 평형함수율이 달라지며 평형함수율은 탈습에 의한 경우보다 흡습에 의한 경우가 낮음. 탈착곡선과 흡착곡선 사이에서의 함수율.


12. 목재
    가) 기건상태에서의 함수율은 15%정도
    나)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강도는 증대하여 인성은 감소한다
    다)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목재강도가 일정하다
    라) 목재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강도와 탄성계수, 수축률 증가
    마) 절취단면 용어: 횡단면, 방사단면, 접선단면 (수심단면X)


13. 목재 방부처리 방법: 표면탄화법, 도포법, 주입법

14. 자연석의 종류

야면석 표면 가공하지 않은 자연석, 운반가능, 공사용 사용 가능한 비교적 큰 석쇠
호박돌 평균지름 20~34cm(18cm 이상) 정도의 강석
조약돌 가공하지 않은 자연석, 지름 10~20cm
굵은자갈 지름 7.5~20cm 정도의 돌
자갈 지름 0.5~7.5cm
굵은모래 지름 0.25~2mm
잔모래 지름 0.05~0.25mm

 

 

15. 미국 농무부 기준

매우 거친 모래 2.0~1.0
거친 모래 1.0~0.5
중간 모래 0.5~0.25
고운 모래 0.25~0.1
매우 고운 모래 0.1~0.05
미사 0.05~0.002
점토 <0.002

 

 

16. 석재의 가공
    가) 혹두기-정다듬-도드락다듬-잔다듬-광내기-버너마감
    나) 혹두기: 쇠메로 쳐서 요철이 없게 대충 다듬는 정도의 돌 표면 마무리
    다) 정다듬: 혹두기한 면을 정으로 비교적 고르고 곱게 다듬는 작업


17. 시멘트종류
    가) 고로시멘트  
        ① 포틀랜드시멘트 클링커에 철용광로로부터 나온 슬래그와 급랭한 급랭슬래그를 혼합하여 이에 응결시간 조정용 석고를 혼합하여 분쇄한 것으로, 수화열량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시멘트
    나) 백색포틀랜드시멘트
        ①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 조기강도가 우수
        ② 제조 시 사용하는 점토에는 산화철이 가능한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③ 제조 시 흰색의 석회석 사용, 안료를 섞어 착색 시멘트 만들 수 있다
    다)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① 조기강도는 보통시멘트에 비해 작으나 장기강도는 보통시멘트와 같거나 약간 크다
        ② 수화열이 보통시멘트보다 적어, 댐, 방사선 차폐용, 매시브한 콘크리트 등 단면이 큰 콘크리트용으로 적합
        ③ 화학저항성 크고 내산성이 우수함
        ④ 단기강도는 조강 포틀랜드시멘트보다 작다
        ⑤ 수화열이 낮아 균열발생이 적고 수축률이 적어 댐이나 교량공사에 적합


18. 시멘트
    가) 워커빌리티
        ① A.E제, 분산제, 감수제가 워커빌리티 크게 함
        ② 필요이상 비비기를 하면 워커빌리티 나빠지고 재료분리 현상 일어남
        ③ 굵은골재가 많을수록 워커빌리티 나빠진다
        ④ 골재의 입형이 둥글수록 워커빌리티 좋다
        ⑤ 측정방법: flow 시험, 비비시험, 리몰딩 시험, 슬럼프 테스트
    나) 분말도
        ① 시멘트 분말이 미세할수록 강도 발현이 빠르다
        ② 분말이 과도하게 미세하면 풍화되기 쉽거나 사용 후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③ 시멘트 분말도 시험으로는 체분석법, 피크노메타법, 브레인법 등이 있다
        ④ 분말도는 시멘트의 성능 중 수화반응, 블리딩, 초기강도 등에 크게 영향을 준다


19. 콘크리트
    가) 콘크리트 이어치기 한도는 외기온 25℃ 미만: 150분, 25℃ 이상: 120분
    나) 한중콘크리트
        ① 콘크리트가 동결할 우려가 있을 때 시공
        ② 일평균기온 4℃이하로 예상되는 시기에 적용
        ③ 압축강도가 50kgf/㎤ 이상 발휘될 때까지 초기보온양생
        ④ 타설 할 때 콘크리트 온도는 구조물의 단면치수,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5~20℃의 범위에서 정함(답)
    다) 프리팩트 콘크리트(답)
        ① 특정한 입도를 가진 굵은 골재를 거푸집 속에 채워 넣고 그 공극속에 특수한 몰탈을 펌프 위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만든 콘크리트
    라) 콘크리트의 공기량
        ① 공기량이 많을수록 슬럼프 증대
        ② 공기량 많을수록 강도 저하
        ③ AE공기량은 진동을 주면 감소
        ④ AE공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
    마) 단위수량: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가장 큰 영향 미치는 요인

 

반응형


20. 콘크리트 크리프에 영향주는 요인(증가)
    가) 작용응력이 클수록 크리프는 크다
    나) 재하재령이 빠를수록 (재하 하중이 클수록)
    다)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라)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마) 대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바) 대기중 습도가 낮을수록
    사) 부재 단면이 작을수록
    아) 다짐이 나쁠수록
    자) 고강도 콘크리트가 저강도 콘크리트보다 크리프 작다.


21. 콘크리트 블리딩 현상
    가) 일종의 재료분리현상, 혼합수가 시멘트 입자와 골재의 침강에 의해 윗방향으로 떠올라 생기는 것
    나) 콘크리트 수밀성 저하, 철근과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골재와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22. AE 감수제 (AE제+감수성능 추가된 혼화제)
    가) 수밀성이 향상, 투수성 감소
    나) 응결특성을 변화시키는 지연형, 촉진형과 응결특성에 영향이 없는 표준형으로 분류
    다) 시멘트 분산작용과 공기연행작용이 합성되어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크게 감소시킴


23. AE제 (콘크리트속 작은 공기거품을 고르게 하기위해 사용하는 혼화제)
    가) 미세한 기포를 연행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와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내동해성) 개선


24. 굳지않는 콘크리트 성질
    가) 시멘트 분말도가 높아질수록 점성이 높아지므로 컨시스턴시가 낮아진다 (답)
    나) 사용되는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는 커진다


25. 콘크리트 혼화재료
    가) 고로슬래그 미분말
        ① 염화물이온 침투를 억제하여 철근부식 억제효과 있다
        ② 보통콘크리트보다 콘크리트 내부의 세공경이 작아져 수밀성이 향상된다
        ③ 풀라이애시나 실리카흄에 비해 포틀랜드시멘트와의 비중차가 작아 혼화재로 사용시 혼합 및 분산성이 우수


26. 콘크리트 비비기
    가) 콘크리트재료는 반죽된 콘크리트가 균질하게 될 때까지 충분히 비벼야 한다
    나) 믹서안의 콘크리트를 전부 꺼낸 후가 아니면 다음재료를 넣지 말아야 한다
    다)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해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라)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해서는 안 된다


27. 조경용재료 일반사항
    가) 석재는 휨강도가 약하므로 들보나 가로대의 재료로 채택하지 않는다
    나) 와이어매쉬는 원로나 주차장을 콘크리트로 포장할 때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으로 많이 사용
    다) 구조체에 사용하는 석재는 압축강도 49MPa이상, 흡수율 5%이하이어야 한다
    라)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등의 무기질계 소재의 도장은 함수율 9% 이하, pH9 이하가 되어야 한다

 

28. 합성수지
   가) 열가소성수지: 열을 가하면 연화 또는 용융하여 가소성 도는 점성이 생김
        ① 염화비닐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스티렌수지(스티로폼), 폴리아미드수지(나일론) 등
    나) 열경화성수지: 열을 가해도 연화되지 않음
        ①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실리콘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프란수지 등


29. 합성수지 특성
    가) 에폭시 수지
        ① 액체상태나 용융상태의 수지에 경화제 넣어 사용
        ②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한성이, 내수성, 내약품성 우수
        ③ 콘크리트, 항공기, 기계 부품등의 접착에 사용됨
        ④ 금속의 접착성이 좋음
        ⑤ 열에 강하고 여러가지 충전재와 혼합사용 가능
    나) 폴리스틸렌수지(스티로폼),
        ① 발포제품으로 만들어 단열재로 사용됨
        ② 건축벽 타일, 천장재, 전기용품
        ③ 건축물의 천장재, 블라인드
    다) 폴리에틸렌수지
        ① 열가소성수지, 두께가 얇은 시트를 만들어 건축용 방수재료로 이용되며 내화학성 파이프로도 활용
    라) 페놀수지접착제
        ① 목재, 금속, 플라스틱 및 이종재 간의 접착에 사용되지만 금속의 접착에는 적당하지 않음
        ② 액상인 것은 완전 굳으면 적동색 띠므로 경화정도 쉽게 판단 가능
    마) 실리콘수지
        ① 내열성이 크고 내한성 우수함. 발수성을 나타내 방수제로 쓰임, 접착제, 도료로 사용됨
        ② 저온에서도 탄성 있어 Gasket, Packing의 원료로 쓰임


30. 옹벽
    가) 캔틸레버(역T자형, L형) 옹벽
        ① 저판 위의 흙의 중량이나 저판의 면적으로 안정성을 높이고자 한 것. 높이 6m
        ②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단면적의 형태를 취하여 구조체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적어 자중이 줄어든 만큼 옹벽 배면의 기초 저판 위의 흙의 무게를 보강하여 안정성을 높인 옹벽
    나) 옹벽의 안정조건
        ① 전도에 대한 안정성: 옹벽이 앞으로 기울어진다
        ② 활동에 대한 안정성: 전체옹벽이 수평이동을 한다
        ③ 기반침하에 대한 안정성: 자중에 의하여 밑으로 움직인다
        ④ 옹벽의 재료가 외력보다 강한 재료로 구성되어야 함
        ⑤ 저항모멘트가 회전모멘트보다 커야 옹벽이 안전하고, 전도에 대한 안전율은 2.0적용
        ⑥ 저항력이 활동력보다 커야 옹벽은 활동에 대해 자유로워지며 안전율은 1.5적용 (답)
        ⑦ 일반적으로 활동(sliding)에 대한 안전율은 15~2.0을 적용(답)


31. 배수
    가) 암거배수(배수관배수): 지표면을 정지하여 완만한 경사 만들고 배수관을 지하에 매설.
        ① 분류식: 오수와 우수를 별개의 하수관거에 수용
        ② 합류식: 오수와 우수를 동일한 관거에 수용함
    나) 배수계통

방사식 광대한 지역 배수지역을 여러개로 분리하여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배관하여 개별로 처분
선형식 지형이 한 방향으로 집중되어 경사를 이루거나 하수처리 관계상 하수를 한 방향으로 유도

 


32. 배수관거
   가) 원형관이 수리학상 유리하다
    나) 관거의 매설 깊이는 동결심도와 상부하중을 고려한다
    다) 배수관거의 유속은 1.0~1.8m/sec가 이상적이다
    라) 관거는 간선과 지선이 90°일때 배수효과가 가장 나쁘다


33. 배수계획
    가) 일정한 유수단면적에서 수리학상 유리한 단면이 되기 위해서는 경심이 최대로 되어야 한다(답)
    나) 강우량과 유입량의 비를 유출계수라 한다(오답)

          *유출계수=최대우수유출량/(강우강도x배수면적)

          *유출계수는 강우량에 대한 유출량의 비

 


바로 시공구조학 2편으로 이어집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시공구조학: 총정리 ②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Ctrl+F 단축키를 사용하시면 원하시는 내용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시공구조학:

now-joo.tistory.com

 


 

1과목인 조경사는 아래 경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사: 서양의 조경 ①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서양의 조경 1. 그리스 가) 아고라(Agora) ① 도시의 중심에 형성, 공공건물로 둘러싸임, 시장과 교역기능 밀

now-joo.tistory.com

 

2과목인 조경 계획은 아래 경로를 이용해주세요~

 

 

[조경기사 정리] 조경계획: 총정리 ①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사: 한국의 조경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now-joo.tistory.com

 

3과목은 조경 설계는 아래 경로를 이용해주세요~

 

 

[조경기사 정리] 조경설계: 총정리 ①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계획: 총정리 ③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now-joo.tistory.com

 

4과목인 조경식재의 링크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식재: 총정리 ① (+학명 기출빈도 정리 링크)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경기사 정리] 조경설계: 총정리 ② ※ 해당 포스팅은 조경기사 2010년~2020년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직접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