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2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경관생태학의 개념, 경관구조와 요소, 기능과 변화 1. 경관생태학의 개념(1) 경관 및 경관생태학의 개념경관의 정의지표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가 모자이크처럼 분포하는 일정 지역시각적·지각적 미적 개념뿐만 아니라 생태적 특성을 포함하는 총체적 실체(2) 경관생태학의 중요한 원리경관: 서로 다른 생태계가 집합한 이질적인 토지 환경경관생태학의 핵심 개념경관의 구조: 생태계 간의 공간적 관계성바탕색, 결, 조각 크기, 통로 구성, 요소의 분포·배열, 공간 연결성 등경관의 기능: 공간 요소 간의 상호작용에너지 흐름, 물과 영양소 순환, 동물 이동, 열매 전파, 교란 및 정보 이동경관의 변화: 시간에 따른 구조 및 기능의 변동성기후변화, 패치의 역동성, 교란 체계 변화, 정보 분포 변화2. 경관생태학에서 다뤄지는 7가지 원칙 원칙 내용 경관구조 및 기능 원칙경관 .. 2025. 3. 19.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통로의 계획, 종류, 설계 및 시공 1. 생태통로의 계획(1) 생태통로의 정의와 개념정의:도로·댐·수중보 등의 인공 구조물로 인해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가 단절, 훼손,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을 돕기 위해 설치되는 생태적 공간목적:야생동물의 서식지 이동을 정기적이고 규칙적으로 보장단절되고 고립된 지역의 야생동물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도록 지원 (2) 생태계 단편화와 그 영향생태계 단편화란?하나의 생태계가 여러 개의 작고 고립된 생태계로 분할되는 현상주된 원인: 인간 활동에 의한 개발 (도로 건설, 도시화, 댐 설치 등)생태계 단편화의 영향서식지 축소 및 고립 → 생물 개체군의 이동 제한개체군의 고립 → 유전적 교환 차단 및 다양성 감소환경 적응력 약화 → 생물의 생존 가능성 저하인간 간섭 증가 → 소음·진동·빛 등 서식환경 악화 (.. 2025. 3. 19.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해안생태계 복원, 산불지역 생태계 복원 1. 해안생태계 복원(1) 훼손된 해안사구의 복원해안사구는 바람과 파랑에 의해 형성된 모래 언덕으로, 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함.인간 활동, 기후 변화, 개발로 인해 훼손된 해안사구를 복원하여 해안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해야 함. (2) 인위적 해안사구 육성과 구조물 설치자연적으로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 인위적으로 해안사구를 조성하여 해안 보호고정 구조물 (방사제, 돌망태, 식생매트 등) 설치를 통해 해안 침식을 방지하고 안정성 확보2. 산불지역의 생태계 복원(1) 산불피해 및 자연복원력소나무림이 활엽수림보다 산불 피해가 큼활엽수림이 소나무림보다 자연복원력이 큼자연 복원 시 숲의 기본 구조 (4층 구조) 회복에는 약 20년 소요(2) 산불로 인한 생물다양성 변화식생 변화식물 종 구성에는 큰 변화가 없으.. 2025. 3. 5.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인공훼손지 생태계 복원, 광산 복원 1. 인공훼손지(도로, 매립지, 광산) 생태계 복원(1) 도로 비탈면 복원성토비탈면: 흙을 쌓아 올린 경우 → 29°~34° 정도가 안정한계경사절토비탈면:토사 → 35°~44°연암(약간 단단한 암석) → 41°~51°경암(매우 단단한 암석) → 50°~60° 안정한계경사로 함 (2) 경사 기준 및 기울기 적용비탈다듬기 공사의 기울기 기준주로 토사의 안식각(흙이 자연적으로 쌓여 안정되는 경사각)을 기준으로 설정성토비탈면의 기울기일반적인 토양 → 1:1.5~1.8 적용절토사면의 기울기1:0.3~1.5 적용식물을 도입하는 경우 또는 경관을 고려하는 경우 완만한 경사 적용 (3) 비탈면 복원계획 (4) 비탈면(법면)의 형상 설계 기준식물 생육에 적합한 사면 경사: 60° 이하비탈면(법면) 길이: 10m 이하계단.. 2025. 3. 5.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호안의 식생복원, 추이대의 식생복원 1.  호안의 식생복원(1) 호안의 유형과 적용 호안 유형 특징 및 적용 계단호안- 사람이 쉽게 접근 가능- 수위 변동이 있어도 계단 형상을 유지하도록 설계 필요완경사호안- 저수호안의 친수성을 높이기 위해 경사를 작게 조성 (경사 2% 기준)어소호안- 구멍이 있는 블록을 사용하여 조성- 공동부(구멍)에 토사가 막히지 않도록 주의 필요경관호안- 매쌓기 방식 사용 시 사면 경사 검토 필요녹화호안(식생호안)- 식생이 풍부한 구조이나 수충부에는 적합하지 않음- 지형의 연속성 고려하여 조성사주부호안- 저수로에서 지속적으로 유사 퇴적이 발생하는 구간에 적용- 호안 사면 경사 1:3, 비탈바닥면은 통나무 말뚝과 야자섬유 두루마리 사용- 사면부는 욋가지 덮기로 정수식물의 자연발생 유도수충부호안- 저수로에서 지속적으로.. 2025. 3. 5.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산림생태계 복원, 생태계(식생)이전 계획 1. 산림생태계 복원(1) 산림의 공익기능과 환경보전기능 산림 기능 직접효용: 목재 생산 및 산림 부산물 생산 기능 산림 기능 간접효용(공익기능):수자원 함양대기정화산림휴양토사유출 방지 및 토사붕괴 방지야생동물 보호산림정수 기능소음 방지, 방풍 기능기후 완화어족자원 보호(2) 산비탈 침식방지 및 붕괴 확대 방지침식 방지우수(빗물)의 침식성 및 토양의 수직성 결정 (유량과 비탈면 경사로 영향)비탈면 경사 완화우수의 분산 및 유하 조절지표면 피복 (가장 효과적인 방법)우수 유로 집수 및 나출지면의 유량 감소붕괴 확대 방지과도한 호우로 인한 붕괴 예방위험 구간의 경사 완화흙막이벽 설치 또는 배수시설 구축(3) 산림생태 복원의 기본사항적용 가능 경사도낙엽활엽수림이 발달한 15~35% 경사의 사면이 적합통기성과 .. 2025.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