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자연생태복원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인공훼손지 생태계 복원, 광산 복원

by by nowjoo 2025. 3. 5.
반응형

1. 인공훼손지(도로, 매립지, 광산) 생태계 복원

(1) 도로 비탈면 복원

  • 성토비탈면: 흙을 쌓아 올린 경우 → 29°~34° 정도가 안정한계경사
  • 절토비탈면:
    • 토사 → 35°~44°
    • 연암(약간 단단한 암석) → 41°~51°
    • 경암(매우 단단한 암석) → 50°~60° 안정한계경사로 함

 

(2) 경사 기준 및 기울기 적용

  • 비탈다듬기 공사의 기울기 기준
    • 주로 토사의 안식각(흙이 자연적으로 쌓여 안정되는 경사각)을 기준으로 설정
  • 성토비탈면의 기울기
    • 일반적인 토양 → 1:1.5~1.8 적용
  • 절토사면의 기울기
    • 1:0.3~1.5 적용
    • 식물을 도입하는 경우 또는 경관을 고려하는 경우 완만한 경사 적용

 

(3) 비탈면 복원계획

비탈면 복원 계획

 

(4) 비탈면(법면)의 형상 설계 기준

  • 식물 생육에 적합한 사면 경사: 60° 이하
  • 비탈면(법면) 길이: 10m 이하
  • 계단폭(식생정착을 위한 단 계단): 2m 이상 유지

 

(5) 성토재료에 따른 흙쌓기 비탈면 표준 기울기

성토재료 성토비탈 높이(m) 기울기 (몰매)
입도분포가 균일한 모래·역질토 (GW, GP, SW, GM, GC) 5 이하 1:1.5~1.8
5~15 1:1.8~2.0
입도분포가 불균일한 모래 (SP) 10 이하 1:1.8~2.0
암괴·호박돌·암버럭 (GW, GP, GM) 10 이하 1:1.5~1.8
10~20 1:1.8~2.0
사질토 or 경점질토·경점토 (SM, SC, CL, OL) 5 이하 1:1.5~1.8
5~10 1:1.8~2.0
부드러운 점질토 (CH, OH, ML, MH) 5 이하 1:1.8~2.0

2. 광산 복원

(1) 오염 및 훼손 형태

  • 갱내수 및 광석·광미(채굴 부산물) 유출
  • 광석 선광 과정에서 사용된 화학약품의 유출
  • 채광 과정에서 사용된 폭약으로 인한 질산·황산 배출
  • 광미(광산 폐기물) 유출 및 유해 침출수 발생
  • 광미·분진의 확산으로 인한 중금속 이동 및 토사 유출
  • 산림 및 토양 훼손

 

(2) 오염된 토양의 복원 기술

  • 분해·무해화 처리 기술
    • 오염물질의 화학구조를 분해하여 무해화하는 기술
      1. 열처리법
      2. 생물학적 처리법
      3. 화학적 처리법
  • 분리·추출 처리 기술
    • 오염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토양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기술
      1. 열탈착법
      2. 토양세정법
      3. 용매추출법
      4. 토양가스 흡인 기술
  • 오염물질 고정화 기술
    • 오염된 토양을 고형화·안정화하여 봉입하는 기술
      1. 시멘트를 이용한 고형화 및 안정화 처리: 오염물질 이동 방지
      2. 유리화 기술: 대상 물질을 유리화하여 유기성 물질을 파괴하고 중금속을 고정
  • 고형화에 이용되는 접합제
    • 무기 접합제: 시멘트, 석회, 킬른분진, 석탄재, 점토, 제올라이트 등
    • 유기 접합제: 아스팔트, 폴리에틸렌, 에폭시, 폴리에스터, 레자 등

 

(3) 국내 폐광지역 복원의 기본 개념

  • 폐광지 토양 특성
    • 산도가 높음 (pH 낮음)
    • 중금속 함량이 높음
    • 유기물 함량이 낮음
  • 복원에 활용 가능한 물질
    • 하수 슬러지
      • 중성 pH 유지
      • 저농도 오염물질 포함
      • 풍부한 유기물 함량
  • 정화 수종 육성
    • 향토 선구 수종 (지역에 적합한 식물)
    • 오염물질에 대한 적응력 및 정화 능력이 높은 종
  • 친환경적 식생 복원
    • 오염물질 확산 방지
    • 유용 폐자원의 재활용

 

반응형

 

함께 보면 좋은 글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해안생태계 복원, 산불지역 생태계 복원

1. 해안생태계 복원(1) 훼손된 해안사구의 복원해안사구는 바람과 파랑에 의해 형성된 모래 언덕으로, 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함.인간 활동, 기후 변화, 개발로 인해 훼손된 해안사구를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