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 빗물을 이용한 생물서식공간 조성
구성 빗물집수 → 빗물전처리 → 빗물저류 → 빗물침투 → 빗물저장 → 빗물재활용
(1) 전처리 단계
구분 | 내용 | 비고 |
쇄석 여과층 | - 시공이 간단하며, 초기 용존산소를 높여줌 - 시설면적이 적고, 시공 및 관리가 간단 |
- 부유물질로 인해 쇄석의 공극이 막히면 효과 감소 |
침전연못 | - 용해 및 고형물질 정화 모두에 효과적 - 주변 경관과 조화되며, 생물 서식공간으로 기능 가능 |
- 넓은 시설면적 필요, 관리 요구 높음 |
수질정화 식생대 |
- 주변 경관과 조화되며 생물 서식공간 가능 - 유기물 함량이 높고, 수량이 많은 곳에 적합 |
- 지속적으로 수량이 유입되어야 최대 정수 효과 발휘 |
침전정 | - 좁은 시설면적으로 설치 가능, 토지 이용에 장애 없음 - 유량이 적고 침전이 많은 빗물에 효과적 |
- 침전 가능한 물질만 정수 가능 - 와류(소용돌이)에 의해 침전이 방해될 수 있음 |
오니제거 침투정 |
- 지표면에 가까운 불투수층에도 적용 가능 - 오니가 많이 섞인 빗물에 적합 |
- 침전 가능한 물질만 정수 가능 - 관리상 제약이 많음 |
월심 분리정 | - 작은 시설면적에도 설치 용이하며 정수 기능 뛰어남 | - 회전속도가 낮고, 부유물질 분리율이 낮음 - 많은 시설비와 높은 관리 요구 |
(2) 저류단계
구분 | 내용 | 비고 |
주차장 저류 | - 저류 효과가 우수 | -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음 |
동결(지하) 저류 | - 저류된 빗물의 지속적인 이용 가능 - 생물 서식공간의 조성에서 수원 제공 |
- 지하공간에 필요한 공사비 - 관리상 문제(병원성 세균) |
지하쇄석 저류 | - 지표면을 평온하게 유지 가능 - 쇄석의 공극을 이용한 수질 정화 기능 |
- 요구면적이 넓어야 함 - 공극이 막히면 저류량과 저하 우려 |
저류 연못 | - 저류 효과 우수, 유출 저감 효과 높음 - 주변과 조화, 생물 서식공간 기능 |
- 넓은 시설면적 요구 - 세심한 관리 필요 |
공원 저류 | - 별도 시설이나 인공적인 조성이 불필요 | - 공원이용에 제한,안전 대책 |
옥상녹화 (녹화형 저류) |
- 대기 중 오염물질 제거, 건물 온도 조절 - 녹지공간 확대, 생물 서식공간 기능 |
- 중량형 녹화일 경우 높은 관리 요구도 |
지류 유출수 (건천형 저류) |
- 짧은 시간 내 최대 유량을 효과적으로 저류 | - 우기만 저류 - 건기 시 토양이용 전략 필요 |
(3) 침투단계
구분 | 내용 | 비고 |
토양표면 침투 | - 유지 관리 용이 - 시공 간편, 기술적 장애 없음 |
- 넓은 시공면적 필요 - 오염된 빗물의 침투로 지하수 오염 우려 |
침투 구덩이 | - 높은 저류효과, 용이한 유지 관리 - 주변 녹지와 연계된 생물 서식공간 기능 |
- 전체 유역의 10~20%에 넓은 면적 요구 - 쓰레기 투기, 이삭 사고 우려 |
침투연못 | - 우수 정화 효과가 뛰어남 - 주변 경관과 조화, 생물 서식공간 기능 |
- 침투층 공극이 막힐 우려 |
원형 침투정 | - 작은 시설 면적, 관리 용이 - 지표면 부근 불투수층에 적용 가능 |
- 정수 기능 없고, 관리상 제한 - 부유물질 처리에 어려움 |
유공관 | - 높은 저류량 확보, 적은 시설면적 - 지표면 부근 불투수층에 적용 가능 |
- 부유물질이 있으면 안되고 관리방안이 없음 |
침투 관거 | - 점적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신속한 처리 - 높은 저류용량, 작은 시설면적 |
- 정수 기능 없음, 유지 관리 어려움 |
침투 트랜치 | - 빗물의 신속한 침투 - 접근이 쉬워 유지 관리 용이 |
- 유사자 축적될 우려 |
잔디형 수로 | - 주변과 조화, 생물 서식공간 기능 - 충분한 폭 확보 시 저류와 침투 수행 |
- 식생 피복 및 일정 정도의 통수능 확보 필요 |
침투 측구 | - 집수한 빗물을 저면 불포화대 및 포화대로 신속히 분산 |
- 부유물질 제거를 위해 침전정 등의 전처리 시설 필요 |
침투통 | - 집수한 빗물을 신속하게 분산, 침투 - 공장, 공공시설, 주거단지 |
- 토사 및 부유물질의 부착상황 확인을 위한 정기적 관리 요구 |
함께 보면 좋은 글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산림생태계 복원, 생태계(식생)이전 계획
1. 산림생태계 복원(1) 산림의 공익기능과 환경보전기능 산림 기능 직접효용: 목재 생산 및 산림 부산물 생산 기능 산림 기능 간접효용(공익기능):수자원 함양대기정화산림휴양토사유출 방지 및
now-joo.tistory.com
반응형
'자격증 > 자연생태복원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호안의 식생복원, 추이대의 식생복원 (0) | 2025.03.05 |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산림생태계 복원, 생태계(식생)이전 계획 (0) | 2025.03.04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곤충류, 양서류, 어류, 조류의 서식처 조성 (0) | 2025.03.01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도시생태계 복원, 육상동물 서식처 복원 (0) | 2025.03.01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계 복원 시행과정 및 절차 (0) | 202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