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도시생태계 복원
(1) 개요
- 도시 서식처 복원의 목표: 자기조절적인 영속성과 생산적인 군집 형성
- 생물 서식공간 창출을 통해:
- 다양한 서식 환경 조성
- 자연생태계 먹이사슬 회복
- 고등동물 유입으로 생물다양성 촉진
- 생물 서식환경을 만족하는 공간 조성
(2) 도시지역의 생태복원과 녹화기술
- 녹화목표
- 자연식생에 근접한 군집 형성
-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군집 형성
- 방재기능이 높은 군집 형성
- 녹화의 의의
- 파괴된 자연을 인위적으로 복원
- 식물 생육이 불가능한 환경조건 개선
- 사막화 지역의 녹지 재생
- 녹지의 기능
- 열섬현상 방지, 대기오염 저감, 강풍 완화, 소음 차단
- 야생동물의 서식지 제공
- 나무의 기능
- 산소 공급, 공기 정화, 습도 조절, 수자원 함양 및 토양 침식 방지
- 생태복원 녹화기술의 기본방향
- 자연회복력 증대
- 종자로부터 자연 군락 재생·창조
- 자연친화적 방법 적용
- 다양한 종 활용
(3) 도로사면의 녹화
- 지역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소생태계 확보 계획 수립
- 재래종 위주의 친환경 공법 적용
- 절토비탈면의 녹화모형:
- 절토부하단: 식생기반재 및 초본류, 관목류 중심 조성
- 중간부: 초본류와 관목류를 주요 구성종으로 조성
- 상단부: 산림인접부분이므로 산림과 연계성 고려한 관목류 및 목본류 구성
(4) 생활주변의 녹화
- 녹화 방식
- 옥상녹화
- 벽면녹화
- 생태숲 조성
- 생울타리
- 관목 덤불림
- 완충녹지
2. 육상동물 서식처 복원
- 서식지 구성 다양성: 삼림, 관목숲, 초지, 경작지를 유사한 비율로 조성
- 연속성 원리: 서식지 간 물리적 연결성 유지
- 패치(서식지 단위):
- 동물의 적정 수용력 고려
- 한계거리는 1km
- 개체군 수준까지 고려하여 조성
- 서식지 크기:
- 지형, 기후, 토양 등의 영향을 받는 생태적 수용능력 지표
- 섬 서식지 원리:
- 면적이 클수록 종 보존 효과 상승
- 인접 서식지 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종 보존에 유리
- 정착종의 이동을 고려하여 통로 조성
- 길쭉한 모양보다 둥근 모양이 더 효과적
- 주연부(Edge Effect):
- 서로 다른 서식지가 만나는 경계 지역
- 생물 다양성 풍부, 개체 밀도 증가
- 먹이 공급지 및 완충지 역할 수행
(1) 이동통로의 특징 및 종류
구분 | 특징 | 종류 |
선형 코리더 | 폭이 좁고 경계종만으로 구성 | 철로변 녹지, 가로수, 통로, 도로, 산울타리 |
대상 코리더 | 풍부한 내부종 포함하는 내부환경이 존재하므로 메트릭스간 내부종 이동가능 |
넓은 대상의 숲 |
하천 코리더 | 물길을 따라 형성되며, 하천 크기에 따라 폭도 다양 | 하천 및 주변 식생대 |
(2) 은신처 유형 및 기능
은신처 종류 | 은신처 기능 |
겨울 은신처 | 겨울 기후와 노출위험으로 보호, 잎과 가지가 밀생되어 있는 식생이 다층구조를 이룸 |
피난 은신처 | 포식자로부터 도피, 먹이 지역과 인접하여 효과적 |
휴식 은신처 | - |
수면 은신처 | - |
번식 은신처 | 어미의 이동이 쉽고 물을 쉽게 구할 수 있음, 관목과 교목의 다층구조 적합 |
체온유지 은신처 | - |
(3) 서식공간의 구조
구성 요소 | 설명 |
내핵(Core Area) | 서식처 및 피난처 역할 수행, 이동통로 기능 |
외핵(Buffer Zone) | 내핵을 둘러싼 지역, 생태 구성요소의 영역성과 활동영역에 영향 |
완충구역(Transition Zone) | 민감 지역 보호를 위해 조성되는 완충녹지 |
(4) 서식공간 관리 및 조성 기법
기법 | 설명 |
자연천이 과정 보호 | 자연 상태를 유지하며, 천이과정을 보호 대상으로 삼음 |
종과 군집의 조정 | 천이 계열을 이용하여 서식조건을 조절하여 개체군 조정 |
대체 서식처 조성 | 새로운 서식환경을 조성하여 생태계 연결 강화 |
인공적 종의 도입 | 번식이 용이한 수렵 조수류를 도입하여 생태적 균형 유지 |
임연부 조정 | 접촉부(경계부) 식생을 다양화하여 서식처 보호 |
(5) 지역별 서식공간 조성 전략
지역 유형 | 조성 방식 |
주거지역 | 관목 및 덤불류 비중 증가, 개방형 조성 |
산림지역 | 휴식지의 이질성을 높여 생물 다양성 증진 |
수변지역 | 띠 모양으로 식재하여 생태적 연결 강화 |
반응형
함께 보면 좋은 글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곤충류, 양서류, 어류, 조류의 서식처 조성
1. 곤충류 유인 및 서식처 복원(1) 서식처 입지조건햇빛이 잘 드는 산림이나 숲 가장자리(추이대) 지역이 적합면적은 10,000㎡ 이상이 필요관목 및 교목 식재 가능, 적당한 마운딩 조성 가능습지 크
now-joo.tistory.com
반응형
'자격증 > 자연생태복원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빗물을 이용한 생물서식공간 조성 (0) | 2025.03.04 |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곤충류, 양서류, 어류, 조류의 서식처 조성 (0) | 2025.03.01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계 복원 시행과정 및 절차 (0) | 2025.03.01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토양 단면, 토양수, 서식지 개념 (0) | 2025.02.26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복원, 생물다양성과 환경포텐셜 (0) | 2025.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