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생물과 인간
(1) 생물과 인간의 거리
- 도주거리: 적이 일정한 거리에 도달하면 도망치는 거리
- 공격거리: 도주거리 침범 후 위협 시 임계반응 거리 / 공격거리, 방어거리
- 임계거리: 도주거리와 공격거리 간의 임계반응을 나타내는 거리의 폭
2. 생태복원의 개념과 서식처 조성과정
(1) 생태복원의 유형
- 복원: 훼손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고유종과 구조를 재도입하는 적극적 과정
- 복구: 훼손 이전의 상태로 완전히 되돌리기 어려운 경우, 원래 자연 상태와 유사하게 전환
- 개선: 경작 적합한 토지로 만드는 것, 본연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포함
- 저감: 저감 혹은 완화로 어떤 행위의 부작용을 줄이는 것
- 향상: 대안 생태계를 만들어 주는 것을 표현 /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
- 창출: 훼손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성이 높은 생태계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
- 대체: 현재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다른 생태계를 새로 조성하여 원래 생태계를 대체
- 개조: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개조 /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
(2) 동·식물의 서식처 조성과정
- 계획
- 1단계: 위치, 범위, 목적과 같은 일반적인 개발사업의 개략적 정보 설정
- 2단계: 유역 내 건설사업으로 영향받는 서식지에 대한 조사, 분석, 평가 실시
- 3단계: 대체 서식지의 위치 선정
- 4단계: 기본계획과 설계 단계를 거쳐 실제 대체 서식지를 조성하고 모니터링
- 시공: 구조적 안정성 확보, 복원 기반 조성, 식생 도입 등의 서식 기반 조성 후 서식처 조성
3. 생물다양성과 환경포텐셜
(1) 개념
- 특정 장소에서 종의 서식이나 생태계 성립의 잠재적 가능성을 나타내는 개념
(2) 구성
- 입지 포텐셜: 토지의 환경 조건에 관한 것 / 환경 조건이 특정 생태계 성립에 적당한가를 나타냄
- 종의 공급 포텐셜: 종자나 개체가 다른 곳으로 공급될 가능성을 나타냄
- 종간 관계의 포텐셜: 종의 생육·서식과의 관계 / 생물 간 상호작용을 나타냄
- 천이의 포텐셜: 생태계의 시간적 변화로 최종적으로 어떤 모습이 될 것인지 가능성
(3) 자생적 독립영향 천이 유형
- 생태계 발달에 따라 나타나는 경향
- 초기단계 → 극상 & 미숙 → 성숙 & 성장단계 → 안정상태
- 생물종의 구성
- 처음에는 빠르게 변화하다가 차차 느리게 변화됨.
- 개체의 크기
-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경향을 보임.
- 종의 다양성
- 초기에는 증가하지만, 개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성숙 단계에서는 안정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총생물량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증가함.
- 비생물적 유기물질
-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4) 생물상 변화와 서식지 변화와의 관계
- 생물상의 변화와 서식지 변화 관계는 종축에 같은 길드에 속하는 생물종의 수 변화율,
횡축에는 이와 관계가 깊은 서식지 규모의 변화율을 두면
서식지가 줄면 종수가 적어지는 정의 상관관계를 형성함.
같이 보면 좋은 글 👇
반응형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토양 단면, 토양수, 서식지 개념
1. 생태복원과 환경요인: 토양환경요인(1) 특성다공성 물질로서 선택적 흡착이 가능함.높은 완충성을 가지며, 급속한 환경 변화에 저항하는 능력이 있음.(2) 토양 단면 구성유기물층 → 용탈층
now-joo.tistory.com
반응형
'자격증 > 자연생태복원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계 복원 시행과정 및 절차 (0) | 2025.03.01 |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토양 단면, 토양수, 서식지 개념 (0) | 2025.02.26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사전환경성검토제도, 환경영향평가제도 (0) | 2025.02.26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환경교육과 환경해설, 국제협약 및 의정서 (0) | 2025.02.25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국가환경종합계획, 자연환경보전계획 (0) | 2025.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