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자연생태복원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복원, 생물다양성과 환경포텐셜

by by nowjoo 2025. 2. 26.
반응형

1. 생물과 인간

(1) 생물과 인간의 거리

  • 도주거리: 적이 일정한 거리에 도달하면 도망치는 거리
  • 공격거리: 도주거리 침범 후 위협 시 임계반응 거리 / 공격거리, 방어거리
  • 임계거리: 도주거리와 공격거리 간의 임계반응을 나타내는 거리의 폭

2. 생태복원의 개념과 서식처 조성과정

(1) 생태복원의 유형

  • 복원: 훼손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고유종과 구조를 재도입하는 적극적 과정
  • 복구: 훼손 이전의 상태로 완전히 되돌리기 어려운 경우, 원래 자연 상태와 유사하게 전환
  • 개선: 경작 적합한 토지로 만드는 것, 본연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포함
  • 저감: 저감 혹은 완화로 어떤 행위의 부작용을 줄이는 것
  • 향상: 대안 생태계를 만들어 주는 것을 표현 /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
  • 창출: 훼손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성이 높은 생태계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
  • 대체: 현재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다른 생태계를 새로 조성하여 원래 생태계를 대체
  • 개조: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개조 /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

(2) 동·식물의 서식처 조성과정

  • 계획
    • 1단계: 위치, 범위, 목적과 같은 일반적인 개발사업의 개략적 정보 설정
    • 2단계: 유역 내 건설사업으로 영향받는 서식지에 대한 조사, 분석, 평가 실시
    • 3단계: 대체 서식지의 위치 선정
    • 4단계: 기본계획과 설계 단계를 거쳐 실제 대체 서식지를 조성하고 모니터링
  • 시공: 구조적 안정성 확보, 복원 기반 조성, 식생 도입 등의 서식 기반 조성 후 서식처 조성

3. 생물다양성과 환경포텐셜

(1) 개념

  • 특정 장소에서 종의 서식이나 생태계 성립의 잠재적 가능성을 나타내는 개념

(2) 구성

  • 입지 포텐셜: 토지의 환경 조건에 관한 것 / 환경 조건이 특정 생태계 성립에 적당한가를 나타냄
  • 종의 공급 포텐셜: 종자나 개체가 다른 곳으로 공급될 가능성을 나타냄
  • 종간 관계의 포텐셜: 종의 생육·서식과의 관계 / 생물 간 상호작용을 나타냄
  • 천이의 포텐셜: 생태계의 시간적 변화로 최종적으로 어떤 모습이 될 것인지 가능성

(3) 자생적 독립영향 천이 유형

  • 생태계 발달에 따라 나타나는 경향
    • 초기단계 → 극상 & 미숙 → 성숙 & 성장단계 → 안정상태
  • 생물종의 구성
    • 처음에는 빠르게 변화하다가 차차 느리게 변화됨.
  • 개체의 크기
    •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경향을 보임.
  • 종의 다양성
    • 초기에는 증가하지만, 개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성숙 단계에서는 안정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총생물량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증가함.
  • 비생물적 유기물질
    •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4) 생물상 변화와 서식지 변화와의 관계

  • 생물상의 변화와 서식지 변화 관계는 종축에 같은 길드에 속하는 생물종의 수 변화율,
    횡축에는 이와 관계가 깊은 서식지 규모의 변화율을 두면
    서식지가 줄면 종수가 적어지는 정의 상관관계를 형성함.

 

같이 보면 좋은 글 👇

반응형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토양 단면, 토양수, 서식지 개념

1. 생태복원과 환경요인: 토양환경요인(1) 특성다공성 물질로서 선택적 흡착이 가능함.높은 완충성을 가지며, 급속한 환경 변화에 저항하는 능력이 있음.(2) 토양 단면 구성유기물층 → 용탈층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