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자연생태복원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토양 단면, 토양수, 서식지 개념

by by nowjoo 2025. 2. 26.
반응형

1. 생태복원과 환경요인: 토양환경요인

(1) 특성

  • 다공성 물질로서 선택적 흡착이 가능함.
  • 높은 완충성을 가지며, 급속한 환경 변화에 저항하는 능력이 있음.

(2) 토양 단면 구성

  • 유기물층 → 용탈층 → 집적층 → 모재층 → 암반
    • 용탈층 + 집적층 = 성토층

(3) 표토

  •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물질, 공기, 미생물 등을 함유한 양분이 많은 표면 흙
  • 모재로부터 외적 영향을 받아 생성되고 변화함.
  • 중요성
    • 유기물 함량이 높고, 양분과 수분을 저장·공급
    • 토양의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 재생이 어렵고, 재생 시에도 한계점 존재

(4) 토양수 종류 (pF 값 기준)

토양수 유형 pF 값 특징
결합수 7 이상 식물이 이용할 수 없는 수분
흡습수 4.5 이상 식물이 거의 이용할 수 없는 수분
모관수 2.7 ~ 4.5이상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유효 수분
중력수 2.7 이하 쉽게 빠져나가는 물, 식물이 활용 어려움

 

(5) 토양 3상 구성 비율

  • 고상(토양 광물, 유기물) + 액상(토양수) + 기상(토양 공기)
  • 식물 생육에 알맞은 비율:
    • 고상 50% + 액상 25% + 기상 25%
  • 토양 특성별 차이
    • 유기물이 풍부하고 다공질인 떼알구조의 토양 → 적절한 3상 비율 유지
    • 사력질 토양 → 소공극이 적어 고상·기상 높고, 액상 낮음 (보수력 부족)
    • 실트·점토 입자 → 대공극 적고 소공극 많아 고상·액상 높고, 기상 낮음
    • 기상 비율 낮고 통기 불량한 토양산소 부족, 유해 가스·환원물질 축적 → 습해 피해

 

(6) 근계(뿌리) 발달과 기상률

  • 기상률 20% 이상, 고상률 50% 이하에서는 식물 근계 발달에 영향이 없음.
  • 반대로 기상률 10% 이하, 고상률 60% 이상이 되면 근계 발달에 현저한 영향을 미침.

(7) 토양 경도와 식물 생육

토양경도지수 (mm) 특징
18 이하 식물 생육 용이, 단 비탈면 붕괴 우려
18 ~ 23 식물 근계 생장에 가장 적당
23 ~ 27 생육 가능하나 활성이 좋지 않음
27 ~ 30 흙이 단단해 식물 생육 곤란, 단 간극 크면 근계 침입 가능
30 이상 식물의 근계 침입 불가능

 


2. 생물환경요인

(1) 서식환경 및 서식지 개념

구분 설명
Habitat (서식지) 개체가 살며 에너지를 얻거나 번식, 월동 등 생활하는 장소
Biotop (생물서식공간) 생물군집, 환경조건, 지리적 공간 단위를 포함한 생물 서식 공간
Ecotop (생태 공간) 지도에 표시될 수 있는 균질한 성질을 가진 최소 단위 공간
  • 잠재자연식생
    • 녹화 대상지에서 인공적 요인을 제거했을 때 확보되는 자연식생
    • 대상지의 생물 공간 지지 능력을 식물 군집으로 표시

 

(2) 야생동물의 서식 요소

  • 먹이: 생존과 번식을 위한 필수 요소
  • 커버(둥지, 잠자리): 천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공간
  • : 생리적 기능 유지에 필수
  • 공간: 개체군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서식 면적

(3) 야생동물의 이동 유형

  • 행동권: 먹이나 보호를 위해 주기적으로 이동하며 서식지를 바꾸는 것
  • 세력권: 둥지를 중심으로 자신만이 배타적으로 사용하는 고유 영역 (환경이 좋을수록 작아짐)
  • 분산: 일시적인 이동이 아니라, 영구적인 이동
  • 이주: 계절 변화에 따라 번식지와 월동지를 오가는 주기적 이동

(4) 이동통로 규모

  • 울타리 규모: 작은 규모로 단편화된 서식지를 연결하는 지역적 통로
  • 경관 모자이크 규모: 주요한 경관 요소를 연결하는 넓고 긴 통로 (임연부 종 + 내부 종 포함)
  • 광역적 규모: 광역적 네트워크 내에서 보호 지역을 연결하는 역할
반응형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계 복원 시행과정 및 절차

1.생물복원 시행공정(1) 설계 및 시공 일반기본전제 → 조사 및 분석 → 개념구상 → 대안평가 → 기본계획 → 세부계획 → 시공 → 유지관리 → 사후평가(2) 조사 및 분석 분석자료 분석내용자연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