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환경영향평가제도
(1)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환경영향평가제도 비교
구분 | 사전환경성검토제도 | 환경영향평가제도 |
의의 | 행정계획 및 개발계획의 시행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입지 선정의 적정성 검토를 통해 환경적 바람직한 행정계획 및 개발계획 |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시행으로 환경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예측·분석하여 저감 방안 강구 |
근거법령 | 환경정책기본법 |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
협의대상 | 행정계획 및 보전용도지역 내의 일정 규모 이상 개발사업 |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
협의시기 | 대상 행정계획 및 개발계획 결정 전 | 대상사업의 실시계획 승인 전 |
주요협의 내용 |
입지의 타당성 여부 및 주변 환경과의 조화 여부 | 대상사업 위주로 검토 / 자연환경, 생활환경 등 23개 항목에 대한 예측, 분석, 평가 |
(2) 사전환경성검토의 제외대상 사업
- 사전협의의 시기가 환경영향평가서 협의 시기와 같은 행정계획일 경우
- 토지의 형질변경, 나무 벌채 등을 수반하지 않는 개발사업
- 재해 응급대책 사업 및 군사 기밀 사항
- 다른 법령에 의해 사전환경성검토가 이루어진 행정계획 및 개발사업
- 산림법에 의한 산림사업 및 사방사업법에 의한 사방사업은 제외
- 사전협의 대상이 중복되는 경우 중복 협의하지 않음
2. 환경영향평가제도
(1) 절차
- Screening (대상사업 선정)
- 대안선정 (사업 실행 가능성 고려)
- Scoping (평가 항목 및 범위 설정)
- 현황조사 (환경요소 조사)
- 예측 및 평가 (환경영향 분석)
- 저감방안 설정 (부정적 영향 최소화)
- 대안평가 (다양한 대안 비교 및 검토)
- 평가서 작성
(2) 기능
- 사전 예방성 확보
- 사업계획의 합목적성을 객관적으로 인정하는 도구
- 사업계획 수립 전반에 대한 절차적 민주성 보장
- 의사결정 도구로서의 조정 기능
- 환경 관련 자료의 종합적인 정보 제공
- 개발과 보전이라는 이질적인 요소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조정
- 모든 행정 절차에서 환경영향을 고려하도록 의무화 및 사회적 비용 내부화
-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대안 제시
(3)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사업분야 | 세부사업명 및 규모 |
도시개발 | 택지개발(30만㎡ 이상) 등 12개 사업 |
산업입지 | 국가·지방·농공단지(15만㎡ 이상) 등 7개 사업 |
에너지개발 | 에너지 개발을 위한 해저광업 등 6개 사업 |
항만건설 | 항만(외곽시설) 등 4개 사업 |
도로건설 | 도로신설(4km 이상), 도로확장(2차선 이상인 10km 이상) |
수자원개발 | 댐(저면적 200만㎡, 총저수용량 2000만㎥ 이상) 등 4개 사업 |
철도건설 | 철도(1km 이상), 도로확장(2차선 이상인 10km 이상) |
경공업단지 | 비행장 활주로(500m 이상), 기타시설(20만㎡ 이상) |
하천개발 | 하천공사(10km 이상) |
(4) 영향예측
- 생태통로(혹은 생태축)의 단절 여부
- 생물종 및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
- 생물 서식공간에 미치는 영향
- 생태계의 유형별 영향 예측
(5) 주민의견수렴제도
- 주민 30인 이상의 요구가 있는 경우 공청회 개최
- 5인 이상, 30인 미만의 요구라도 의견 제출 주민의 50% 이상이 요구하는 경우 공청회를 반드시 개최
- 공청회에는 전문가 등이 참여해야 함
함께 보면 좋은 글 👇👇
반응형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복원, 생물다양성과 환경포텐셜
1. 생물과 인간(1) 생물과 인간의 거리도주거리: 적이 일정한 거리에 도달하면 도망치는 거리공격거리: 도주거리 침범 후 위협 시 임계반응 거리 / 공격거리, 방어거리임계거리: 도주거리와 공격
now-joo.tistory.com
반응형
'자격증 > 자연생태복원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토양 단면, 토양수, 서식지 개념 (0) | 2025.02.26 |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복원, 생물다양성과 환경포텐셜 (0) | 2025.02.26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환경교육과 환경해설, 국제협약 및 의정서 (0) | 2025.02.25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국가환경종합계획, 자연환경보전계획 (0) | 2025.02.25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자연도, 녹지자연도, 토지의 환경성평가방법 (0) | 2025.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