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자연생태복원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호안의 식생복원, 추이대의 식생복원

by by nowjoo 2025. 3. 5.
반응형

1.  호안의 식생복원

(1) 호안의 유형과 적용

호안 유형 특징 및 적용
계단호안 - 사람이 쉽게 접근 가능
- 수위 변동이 있어도 계단 형상을 유지하도록 설계 필요
완경사호안 - 저수호안의 친수성을 높이기 위해 경사를 작게 조성 (경사 2% 기준)
어소호안 - 구멍이 있는 블록을 사용하여 조성
- 공동부(구멍)에 토사가 막히지 않도록 주의 필요
경관호안 - 매쌓기 방식 사용 시 사면 경사 검토 필요
녹화호안(식생호안) - 식생이 풍부한 구조이나 수충부에는 적합하지 않음
- 지형의 연속성 고려하여 조성
사주부호안 - 저수로에서 지속적으로 유사 퇴적이 발생하는 구간에 적용
- 호안 사면 경사 1:3, 비탈바닥면은 통나무 말뚝과 야자섬유 두루마리 사용
- 사면부는 욋가지 덮기로 정수식물의 자연발생 유도
수충부호안 - 저수로에서 지속적으로 침식이 발생하는 구간에 적용
- 침식 경감을 위해 돌망태공법, 돌바구니공법, 자연석쌓기, 사석호안공법 적용
- 사면부는 갯버들 식재, 사면 어깨부는 물억새 식재
상습 홍수피해지역 -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호안 조성
- 어류 및 식생 보호를 위해 콘크리트 블록공법, 콘크리트 틀공법, 돌심기공법 적용
하중도의 식생호안 - 기단부는 자연석을 받치고, 가장자리는 통나무 배치
- 우점종인 환삼덩굴을 제거
얕은 만 호안부 식생 - 야자섬유망(지름 30cm, 길이 4m)을 원통형으로 설계
- 나무 말뚝(1m 간격)으로 고정하여 안정화
- 세굴 방지를 위해 유속에 따라 말뚝을 0.3~0.8m 간격으로 배치
복단부 사면의 식생호안 - 상단부에 갯버들 그루터기를 심어 자연 정착 유도

 

(2) 여울, 웅덩이, 기저 복원

  • 여울(야울) 폭: 저수로 폭의 6배 정도가 적합
  • 여울 위치: 자연 하상 경사보다 30~50cm 위
  • 웅덩이 수심: 최소 30cm 유지
  • 여울과 웅덩이 간격: 저수로 폭의 1~3배
  • 수로의 자연 굴곡 유지: 굴곡부에 여울과 웅덩이 형성

 

(3) 호안의 사면처리 (기초 보호공)

  • 사면의 안전성 확보: 기단부에 비탈멈춤공 적용
  • 유실 방지: 유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 식생 근계부 활착까지 보조재 사용
  • 자연재료 활용: 식물 활착 후 부식되는 표면 보호재 사용
  • 보호재료의 선택: 사면 기울기, 길이, 도입 식물종에 따라 조정

 

(4) 호안 식생복원 재료

  • 직선형 콘크리트 제방을 지양하고 자연 호안 적용
  • 사용되는 재료:
    • 수변식물
    • 목재
    • 석재
    • 철강재 및 콘크리트 등의 인공재
    • 토목섬유

 

(5) 하천구조물 재료의 특성

구분 재료 비고
자연성 식물재료 > 토사 > 석재 > 목재 > 콘크리트재료 > 철강재 내구성 감소
인공성 식물재료 < 토사 < 석재 < 목재 < 콘크리트재료 < 철강재 내구성 증가
친수성 석재 > 목재 > 토사 > 콘크리트재료 > 식물재료 < 철강재 -

 

(6) 식물재료 선정 기준

  • 제반 여건과 천이 과정(생태적 변화)을 고려하여 선정
  • 주로 사용되는 식물:
    • 잔디, 갈대, 버드나무, 부들, 창포, 달뿌리풀 등
  • 식물 소재 선정 시 고려해야 할 기준
    • 적용 대상지의 식생 복구 목표에 적합한 식물 선정
    • 정수식물대 및 습생식물대에서 출현하는 식물 도입
    • 지역 내 자생하는 식물 우선 선정
    • 근계(뿌리 조직)가 치밀하여 토양 안정성 효과가 높은 식물 도입
    • 번식이 용이하고 유묘(어린 식물)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식물 선정

 

(7) 추이대(전이지대)의 식생복원

  • 갈대 군락 조성
    • 습한 환경을 유지하며, 유사 퇴적과 수질 정화에 기여
  • 저습지 조성
    • 낙차공(수위 차이를 조정하는 구조물)이 설치된 지역에 저습지 조성
    • 표면 유거수(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가 모이는 장소에 조성
    • 하천 본류보다 낮은 위치에 조성하여 유지 용수 확보
    • 유공관(물 투과가 가능한 배수관)을 이용해 본류의 물을 주변으로 유입하여 저습지 형성
    • 추수식물(연못 가장자리 식물)은 수변에 배치
    • 수생식물 및 부엽식물(잎이 물에 떠 있는 식물)은 수중에 배치
    • 수질 정화를 위해 저습지대 식생은 주로 정수식물(물속에서 정화 작용하는 식물)로 구성

 

반응형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인공훼손지 생태계 복원, 광산 복원

1. 인공훼손지(도로, 매립지, 광산) 생태계 복원(1) 도로 비탈면 복원성토비탈면: 흙을 쌓아 올린 경우 → 29°~34° 정도가 안정한계경사절토비탈면:토사 → 35°~44°연암(약간 단단한 암석) → 41°~51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