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의 종류와 특징
산불의 유형은 불의 강도와 숲의 층상구조에서 불이 도달하는 높이로 구분하며, 불의 강도는 연료원의 종류, 연료량, 지형 및 기후의 영향을 받습니다. 산불의 유형(종류)으로는 지중화(ground fire), 지표화(surface fire), 수간화(understory fire) 및 수관화(crown fire)가 있습니다.
지중화(ground fire)
이탄이나 낙엽 등 땅속의 유기물질이 타며, 토양 속에 연료가 많이 축적된 곳에서 느리게 진행하는 산불입니다. 보통 불이 지면 위로 노출되지 않고 연기만 뿜으면서 진행되는 산불로 오랫동안 균일하게 피해를 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 유형의 산불이나, 지중화는 발생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지표 가까이에 몰려있는 나무들의 연한 뿌리들이 뜨거운 열로 죽게 되므로 지상부는 멀쩡한 채 죽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지표화(surface fire)
지표에 있는 낙엽 및 초본류와 같은 지피식물과 관목, 어린나무들이 불에 타며 빠르게 진행하는 속성을 갖습니다. 산불의 강도가 약해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산불 이후에 재생하는 속도가 빠릅니다. 성숙한 나무들의 경우, 지표에 접한 부분과 껍질이 그을릴 정도이며 죽지는 않습니다. 보통 생태계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써 사용하는 처방화들은 지표화를 이용합니다.
수간화(understory fire)
수간이란 나무의 줄기(stem, trunk)이며, 수간화는 줄기가 타는 불입니다. 불꽃의 길이는 1~3m로 초본층과 관목층을 연소시키고, 교목층의 일부를 태우거나 열해 피해를 입혀 고사시키는 산불입니다. 보통 교목층의 목본 줄기의 중간 정도까지 그슬릴 정도의 불이라 수간화라고 하며, 낙회나 지표화로부터 발생합니다.
수관화(crown fire)
수관화는 불꽃의 길이가 3m 이상인 불로, 숲의 층상구조 전체를 연소시키는 불입니다. 바람을 타고 비산화가 되어 수백 미터까지 이동이 가능하며,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V자형으로 확산됩니다. 과열에 의해 나무를 죽이는 동시에, 한번 일어나면 끄기가 힘들어 큰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가장 무서운 불입니다. 흔히 수지가 많은 침엽수림에 한하여 일어나지만, 때로는 마른 잎이 수관에 남아있는 활엽수에서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상으로 산불의 종류와 그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에는 가을과 봄의 산불, 특히 봄산불이 위험한 이유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12.21 - [산림] - 산불(2) 봄 산불이 위험한 이유
산불(2) 봄 산불이 위험한 이유
2022.12.15 - [산림] - 산불(1) 산불의 유형(종류)과 특징 산불(1) 산불의 유형(종류)과 특징 산불의 종류와 특징 산불의 유형은 불의 강도와 숲의 층상구조에서 불이 도달하는 높이로 구분하며, 불의
now-joo.tistory.com
'산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불조심기간 중 입산 가능한 등산로 확인 사이트(입산통제구역) (0) | 2023.01.25 |
---|---|
산불(2) 봄 산불이 위험한 이유 (0) | 2022.12.21 |
숲 가꾸기(2) 숲 가꾸기의 효과 (0) | 2022.11.17 |
숲 가꾸기(1) 숲 가꾸기 사업이란? (0) | 2022.11.13 |
치유의 숲(2) 치유의 숲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해외사례 (0) | 2022.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