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자연생태복원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네트워크, 생태축

by by nowjoo 2025. 2. 25.
반응형

1. 생태·녹지 네트워크론

(1) 생태네트워크

  • 개념:
    • 개별 서식처와 생물종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지역적 맥락에서 서식처와 생물종을 종합적으로 보전·증진하는 공간 계획.
  • 기능:
    • 생물다양성 보전, 복원, 증진에 기여.
    • 오픈스페이스 및 서식처 간 야생생물 이동 촉진.
    • 지역 차원에서 생물종 소멸비율 최소화, 자연화 기회 극대화.
    • 파편화된 생태계 및 서식처 보전.

(2) 생태네트워크 유사 개념 비교

구분 유사 개념 정의 특징
선형 그린웨이, 코리더, 녹도 선형 형태를 가진 녹지 또는 하천 연결성·방향성 중시,
철도·도로·하천 등의 선형요소 활용
녹지축 주요 녹지거점을 연결한 녹지 흐름 파악 녹지 흐름의 공간적 골격 형성 초점
망형 비오톱 네트워크, 서식처 네트워크 생물종 이동과 서식을 위한 연결 구조 생물종의 생활 패턴 고려,
서식처 보호 및 계획적 연계
생태네트워크 생태·경관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연계 모든 서식처와 녹지거점을 포함한 네트워크,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
점·선·면적 요소 모두 고려
녹지네트워크 생태네트워크와 유사하나 연결대상을 녹지와 산림으로 제한

 

 

(3) 생태네트워크 구성 요소

  • 핵심지역(Core Area):
    • 중요 생물종의 이동 및 번식과 관련된 지역.
  • 완충지역(Buffer Zone):
    • 생태축 외부의 인간 활동으로부터 생태계를 보호하는 일정 폭의 지역.
  • 생태학적 코리더(Ecological Corridor):
    • 핵심지역 사이를 연결하는 경관 구조.
  • 징검다리 녹지(Stepping Stone Green Space):
    • 생태적 격리 지역에서 패치(녹지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독립 패치.
  • 복원지역(Restoration Area):
    •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새롭게 조성된 지역.

 

(4) 우리나라 생태네트워크 유형

권역 구분 주요 내용
핵심생태지역 백두대간, 국립공원, 4대강, 서·남해안, 비무장지대(DMZ)
생태통로지역 핵심생태지역과 인접 지역의 생태계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
생태복원지역 난개발, 환경오염 등으로 훼손된 지역 또는 생태적 복원이 필요한 지역

 

(5) 위협 요인 및 대책

구분 위협 내용 대책
도로·철도 자동차 충돌 증가
선형 장벽 효과 증가
녹도 조성, 친환경적 건설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치
위락시설 고차양 생물의 서식처 훼손 사업 규모 축소, 지형 고려한 설계
택지 개발 도시 내 고립 생태계 증가 녹지축 고려, 징검다리형 녹생 공간 조성
매립·간척 해양생물 서식처 및 갯벌 생태계 파괴 기존 지형 유지, 생태공원 조성
송변전시설 산림 생태계 단절 지중 매입, 단절 생태계 복원
임도 외래종 파급 및 교란 증가 타당성 검토 강화, 임도 노선 적정 배치
농지·기타 농약·화학물질로 인한 토양 오염
토양 미생물 서식처 훼손
친환경 농법

2. 생태축

(1) 생태축의 기능과 효과

기능 및 효과 내용
생태적 기능 단절된 생태계의 연결을 통한 생물 이동성증진 및 개체군 유지
생태계간 에너지, 물질, 동물의 이동증진, 바람통로기능
생물다양성 유지 및 증대
보전생물학적 기능 유전자 풀의 유지 및 근친교배로 유전적 악화방지
서식처 제공으로 야생동물 보전 기여
서식처 파편화에 의한 국지적인 종의 고립과 멸종방지
공원녹지적 기능 녹지의 연결을 통한 이용성 및 접근성 증진
도시 내 녹지율 증대
생활환경적 기능 대기오염 및 소음 저감 / 미기후 조절

 

(2) 생태축의 장단점

  • 장점
    • 종풍부도, 다양성의 증대 및 유지
    • 특정 종의 개체군 크기 증대
    • 멸종가능성 감소
    • 패치간의 이동 통한 대피지역 증대
    • 서식처간 혼합을 위한 접근성 증대
    • 대규모 간섭으로부터 피난처 제공
    • 그린벨트 제공
  • 단점
    • 질병, 해충 확산증대
    • 개체군간 유전적 변이의 수준감소
    • 전염성 재해의 확산
    • 사냥꾼, 침입자, 포식자 노출증대
    • 전통적 보전방법과 갈등
    • 비용과다
반응형

 

 

함께보면 좋은 글 👇

 

[자연생태복원기사 정리] 생태자연도, 녹지자연도, 토지의 환경성평가방법

1. 생태자연도 작성지침(1) 관련 용어의 정의생태자연도: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에 따라 등급화해 작성한 지도.식생보전등급:식생을 자연성, 희귀성, 분포 상황 등에 따라

now-joo.tistory.com

 

반응형

댓글